집구석 경제

서른 번째. 골디락스 경제와 공개시장 운영

JeongYeon 2023. 2. 14. 08:02
골디락스 경제(Goldilocks economy)

경기과열에 따른 인플레이션과 경기 침체에 따른 실업을 염려할 필요가 없는 최적 상태에 있는 건실한 경제를 가리킨다.

이는 영국의 전래동화인 골디락스와 곰 세 마리(Goldilocks and the three bears)에 등장하는 금발 머리 소녀의 이름에서 유래하였다.

동화에 따르면 엄마 곰이 끓인 뜨거운 수프를 큰 접시와 중간 접시 그리고 작은 접시에 담은 후 가족이 이를 식히기 위해 산책하러 나갔다. 이때 집에 들어온 골디락스가 새끼 곰 접시에 담긴 너무 뜨겁지도 않고 너무 차지도 않는 적당한 온도의 수프를 먹고 기뻐하는 상태를 경제에 비유한 것이라 한다.

즉 경기과열이나 불황으로 인해 높은 수준의 인플레이션이나 실업률을 경험하지 않는 양호한 상태가 지속되는 경제를 지칭한다.

 

☞ 경제가 높은 성장을 이루고 있더라도 물가 상승이 없는 상태

 

 

공개시장 운영(open market operation)

중앙은행이 금융시장에서 금융기관을 상대로 국공채 등 증권을 매매하여 시중 유동성이나 시장금리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통화정책 수단이다.

공개시장 운영은 다른 통화정책 수단(지급준비제도, 여수신제도 등)에 비해 시가와 규모를 신축적으로 정할 수 있다.

금융시장의 가격메커니즘에 따라 이루어지므로 시장친화적이다.

즉각적인 매매만으로 신속하게 정책을 시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대부분의 선진국 중앙은행들은 공개시장 운영을 주된 통화정책 수단으로 사용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한국은행은 공개시장 운영을 통해 금융기관의 지급준비금(지준)보유 규모를 변동시킴으로써 금리가 기준금리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도록 조정한다.

금융기관의 지준 부족(보유 지준 < 필요 지준)으로 콜머니가 증가하고 콜금리 상승압력이 증대될 경우 한국은행은 RP 매입 등을 통해 지준을 공급하여 콜금리의 상승을 제한한다. 

반대로 지준 잉여(보유 지준 > 필요 지준)로 콜론이 증가하고 콜금리 하락 압력이 증대될 경우 RP 매각, 통화안정증권 발행, 통화안정계정 예치 등을 통해 잉여 지준을 흡수하여 콜금리의 하락을 제한한다.

 

* 콜(Call) : 금융기관이나 증권회사 상호간에 거래되는 단기의 자금 대차

-> 공급자 측에서 보면 콜 론(call loan), 수요자로 보면 콜 머니(call money)라고 부른다.

* 콜금리(Call rate) : 금융기관 상호간의 극히 단기의 자금 대차인 콜에 대한 이자율

* RP(Repurchase Agreement) : 금융기관이 일정 기간 후 확정금리를 보태어 되사는 조건으로 발행하는 채권

 

☞ 중앙은행이 공개시장에 개입하여 시장가격으로 유가증권 등의 매매를 함으로써 증권조절을 꾀하는 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