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구석 경제/공부

기업 분석

JeongYeon 2024. 7. 26. 09:46

 

기업 분석(Company Analysis)

 특정 기업의 재무 상태, 운영 효율성, 시장 위치, 성장 가능성 등을 평가하기 위해 다양한 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하는 과정

 

 

① 질적 분석

 기업 고유의 경영전략, 기업의 성장성, 경영자의 능력, 기업 이미지, 업계에서의 지위, 노사관계 등 비계량적 요인을 분석하는 것

 숫자로 표현되지 않는 요소들을 분석함으로써 기업의 전반적인 상태를 더 깊이 이해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② 양적 분석

 기업이 공시한 재무제표를 중심으로 한 분석 방법

 주로 재무제표를 통해 수익성, 안정성, 성장성 등을 분석

 우리나라 기업회계 기준상의 재무제표에는 대차대조표, 손익계산서,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또는 결손금처리계산서), 현금흐름표 등이 있다.

 기업에 대한 양적분석은 회계정보를 바탕으로 재무비율  분석이 중심

 

 ① 수익성

 → ⓐ 총자본이익률(ROI; Return On Investment) : 기업에 투자된 총자본(자산)으로 세후 어느 정도의 당기순이익을 얻었는가 나타냄. 총자본이익률 = (당기순이익 / 총자본) × 100 (%)

     이 비율은 투자수익률(ROI; Return On Investment)이라고도 하며, 총자본과 총자산은 금액이 같으므로 총자본 대신 총자산을 사용해 총자산이익률이라고도 한다.

     총자본이익률 = (당기순이익 / 매출액) × (매출액 / 총자본) = 매출액순이익률 × 총자본회전율

 → ⓑ 자기자본이익률(ROE; Return On Equity) : 기업에 투자된 자기자본에 의해 얻어지는 세후 이익이 얼마인가 측정하는 것. 자기자본이익률 = (당기순이익 / 자기자본) × 100 (%)

     주주들의 투자 자본인 자기자본에 대해 어느 정도의 이익을 얻었는지 나타내는 지표로서 타인자본을 제외한 순수 자기자본의 효율적 운영을 알아보고자 한 것이다.

    자기자본이익률 = (당기순이익 / 매출액) × (매출액 / 자기자본) = (당기순이익 / 매출액) × (매출액 / 총자산) × (총자산 / 자기자본) = 매출액순이익률 × 총자산회전율 ÷ 자기자본비율

 

 ② 안정성

 →  ⓐ 부채비율(Debt Of Equity Ratio) : 기업이 타인자본에 의존하고 있는 정도를 나타내는 비율. 장기부채 상환능력 판단 지표. 부채비율 = 타인자본 / 자기자본

 → ⓑ 부채 · 자기자본비율 : 기업이 자기자본의 형태로 조달한 자본에 비해 총고정부채 얼마나 되는지 나타낸 것. 부채 · 자기자본비율 = (총고정부채 / 자기자본) × 100(%)

      주주들이 출자한 자본에 대한 부채 레버리지 효과(Financial Leverage Effect)를 나타낸 것이기도 함. 일반적으로 100% 이상이면 높은 것 ☞ 레버리지 비율 높으면 이익의 변동성 큼 → 위험 커지며 주주들의 기대수익률 더욱 높아짐

 → ⓒ 이자보상비율(Interest Coverage Ratio) : 기업의 영업이익이 타인자본의 사용으로 인해 발생하는 이자의 몇 %가 되는지 나타내는 비율. 이자보상비율 = (영업이익 / 이자비용) × 100 (%)

     100% 이하 → 영업이익으로 이자도 갚지 못하는 상황 ☞ 기업의 도산 위험 ↑

 → ⓓ 유동비율(Current Ratio) : 상환기간 1년 미만인 기업의 단기채무에 대한 지급 능력인 유동성을 나타내는 비율. 유동비율 = 유동자산 / 유동부채

 

'집구석 경제 >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술적 분석  (2) 2024.07.28
기업 분석 - 양적 분석  (0) 2024.07.27
산업 분석  (0) 2024.07.25
기본적 분석 - 환율과 원자재 가격  (0) 2024.07.24
경제분석 - 기업경기실사지수와 물가  (0) 2024.07.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