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공부

기본적 분석 - 환율과 원자재 가격

반응형

 

환율(Exchange Rate)

 한 나라의 화폐가 다른 나라의 화폐로 교환되는 비율

 예. 원화 대 미국 달러 비율 1,000원 : 1달러 → 원화 시장에서 우리나라 원화 1,000원과 미화 1달러가 교환된다는 뜻

 이와 같은 환율외환시장에서 외화의 수요와 공급에 의해 결정

 환율의 변동은 수출입, 경제성장, 경상수지 등 경제 전반에 미치는 영향 통해 주가에 영향

 국가 경제의 해외 의존도 높은 우리나라와 같은 경제에서는 수출국내 경기에 큰 영향 & 기업의 이익에 직접적 영향 미침

 일반적으로 환율 인하수출 줄어들어, 기업의 수익성 ↓ → 주가 하락

 반대로 환율 인상수출 늘어나, 기업 수익성 ↑ → 주가 상승

 환율 인하(원화 평가절상)는 경상수지의 흑자 폭이 크고, 경제가 안정될 때 나차나는 것이 일반적

 경상수지의 흑자폭 증가 → 해외 부문으로부터의 자금 유입 증가 → 주식의 매입 증가 ☞ 적절한 환율 인하는 주가 상승

 그러나 급격한 환율 인하는 수출 비중 높은 기업의 수출경쟁력 떨어뜨려 기업의 매출과 수익을 악화시켜 주가 하락시키는 요인

 환율 인상(원화 평가절하)은 수출 부진은 경상수지 적자 폭 커지거나, 경제성장 둔화할 때 나타나는 것이 일반적

 경상수지적자는 통화환수요인으로 작용해 시중자금 흡수하고, 경기침체 가속할 수 있기 때문에 주가 하락시킴

 적절한 환율 인상수출 비중 높은 기업의 수출경쟁력 증대주가 상승 요인

 

원자재 가격

 원자재 가격과 주가는 음의 상관관계

 부존자원 많은 국가에 있어서 원자재 가격과 주가는 장기적으로 보면 같은 방향으로 움직임

 우리나라같이 국내외 부존자원 빈약해 대부분 수입해야 하는 나라에서는 상황 다름

 국제원자재(원유, 가스, 곡물 등) 가격 상승원자재 수입액 증가국제수지 악화물가 상승 요인으로 작용 ☞ 경제 여건 악화

반응형

'주식 >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업 분석  (0) 2024.07.26
산업 분석  (0) 2024.07.25
경제분석 - 기업경기실사지수와 물가  (0) 2024.07.23
경제분석 - 경기변동과 소비자 조사  (1) 2024.07.22
증권의 기본적 분석  (0) 2024.07.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