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경기실사지수(BSI; Business Survey Index)
기업의 활동 및 경기 동향 등에 대한 기업가의 판단과 전망 및 이에 대비한 계획을, 설문지를 통해 조사·분석함으로써 전반적인 경기 동향을 파악하고자 하는 단기경기예측수단이다.
각 항목에 대해 응답 기업들이 긍정적, 중립적, 부정적 응답 → 지수는 긍정적 응답 비율에서 부정적 응답 비율을 뺀 값으로 계산 → 이 지수는 보통 0에서 100 사이의 값을 가지며, 100은 모든 응답 기업이 긍정적으로 응답했음을 의미, 0은 모두가 부정적으로 응답했음을 의미, 50은 긍정적 응답과 부정적 응답이 같음을 나타낸다.
▶ 지수가 50을 넘으면 경기 상황이 좋다고 평가하는 기업이 더 많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 지수가 50 이하이면 경기 상황이 나쁘다고 평가하는 기업이 더 많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물가
완만한 물가 상승은 실물경기의 호전을 가져오면서 기업수지의 개선과 기업 자산의 명목가치를 증대시켜 주가를 상승시키게 된다.
급격한 물가 상승은 금융 저축을 위축시키고 부동산 및 귀금속 등의 실물자산을 선호하게 하여 주가를 하락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경기 침체 상태에 물가가 상승하는 스태그플레이션(stagflation)에서는 비용 인상형 인플레이션(cost push inflation)이 발생하여 기업수지에 마이너스 영향을 미친다.
물가 상승 → 소비자의 실질소득 감소 → 구매력 감소 → 기업수지 악화 → 주가 하락
728x90
'집구석 경제 >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산업 분석 (0) | 2024.07.25 |
---|---|
기본적 분석 - 환율과 원자재 가격 (0) | 2024.07.24 |
경제분석 - 경기변동과 소비자 조사 (1) | 2024.07.22 |
증권의 기본적 분석 (0) | 2024.07.21 |
채권유통시장 (2) | 2024.07.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