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권수익률
일반적으로 시장수익률과 같은 개념으로 사용.
다양한 형태로 계산될 수 있음
- 단순 평균수익률(Current Yield, 직접수익률)
투자 기간에 받는 이자는 복리로 하지 않고, 표면이자율로 재투자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 단순평균수익률 = (만기까지의 현금흐름 / 시장가격) ÷ 투자 햇수
- 만기 수익률(Yield to Maturity)
채권을 만기까지 보유할 경우 얻을 수 있는 총수익률을 나타내며, 이자 지급액과 채권의 매매 차익을 모두 포함한다.
일종의 약정수익률.
만기 수익률의 경제적 의미
① 만기수익률은 채권의 현재 가격을 나타내는 하나의 수단이다.
② 만기수익률은 채권의 시장수익률, 즉 금융시장에 있어서 시장이자율과 같은 개념으로 생각할 수 있다.
③ 만기수익률은 어떤 채권을 매입해 만기까지 보유하는 것을 전제로 해 산출한 사전적 수익률이다.
표면이자율(Coupon Rate)
채권 발행 시 정해진 이자율로, 채권의 액면가(Face Value)에 대해 매년 지급되는 이자의 비율을 의미
채권의 명목이자율(Nominal Interest Rate)이라고도 불리며, 채권 투자자에게 일정한 주기로 지급되는 이자의 양을 결정
표면이자율 특징
① 고정 이자 지급: 표면이자율은 채권 발행 시 정해지며, 만기까지 변하지 않는다. 따라서 채권 보유자는 매년 일정한 금액의 이자를 받을 수 있다.
② 수익률 비교 기준: 채권의 현재 시장 가격과 비교하여 투자 수익률을 평가할 때 기준이 된다. 만약 채권이 액면가보다 높거나 낮은 가격에 거래될 경우, 투자 수익률은 표면이자율과 다를 수 있다.
③ 채권 발행 시 설정: 채권을 발행할 때 발행자가 설정하는 이자율로, 시장의 금리 상황, 채권 발행자의 신용도, 채권의 만기 기간 등에 따라 달라진다.
'집구석 경제 >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선물시장의 기능과 기초개념 (0) | 2024.08.04 |
---|---|
선물시장 (0) | 2024.08.03 |
효율적 이상가설과 일치하지 않는 이상현상 (0) | 2024.08.01 |
효율적 시장가설 (0) | 2024.07.31 |
효율적 자본시장(Efficient Capital Market) (0) | 2024.07.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