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우이론
미국 월스트리트 저널 창간한 찰스 다우가 만든 이론
장기추세 : 1년 ~ 10년에 걸쳐 형성된 장기적 흐름 나타냄. 주추세라고도 함
중기추세(2차동향) : 3주 ~ 수개월에 걸친 주가 추세, 주목적은 장기추세 예측하고 추세 전환되는 시점 포착
단기변동(일일변동) : 일별 주가 움직임, 단기적이고 불규칙한 주가변동으로 분석가치 없음
다우이론 중 장기추세를 이용해 다음과 같이 예측한다.
① 새로운 중기추세의 최고점이 장기추세의 최고점을 상향 돌파하지 못하면 장기추세는 하락 국면에 있다.
② 새로운 중기추세 지점이 그 이전 지점보다 높으면 장기추세는 상승 국면으로 들어가고 있다.
③ 장기추세의 진행 과정을 시장 상황과 관련해 구분해 보면 강세장은 매집 국면, 상승 국면, 과열 국면으로 나눌 수 있다. 약세장은 분산 국면, 공포 국면, 침체 국면으로 구분 가능하다.
엘리엇 파동이론
주식 시장 가격 움직임을 분석하고 예측하는 데 사용되는 기술적 분석 방법 중 하나로 피보나치수열의 법칙에 따라 5번의 상승 파동과 3번의 하락 파동으로 구성
엘리엇 파동이론은 가격 움직임을 추세파동과 조정파동으로 구분
추세 파동 (Impulse Waves): 주된 방향으로 움직이는 파동. 총 5개의 하위 파동으로 구성, 1, 3, 5번 파동은 주된 방향으로 움직이고, 2, 4번 파동은 그사이에 반대 방향으로 움직임. 예. 상승 추세에서는 1, 3, 5번 파동이 상승하고, 2, 4번 파동은 조정(하락)한다.
조정 파동 (Corrective Waves): 추세 파동이 끝난 후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는 파동. 총 3개의 하위 파동으로 구성되며, A, B, C로 표시. 상승 추세가 끝난 후에는 A, B, C 파동이 하락.
우라카미 쿠니오의 주식시장 4단계론
단기 파동이 아닌 몇 년 주기의 장기파동
① 장세는 금융장세다. 금융장세를 흔히 유동성 장세라고도 한다. 이 장세는 주식시장이 침체에서 탈출할 때의 국면
② 실적장세다. 주식시장이 바닥에서 상승하는 금융장세가 먼저 진행된 다음 나타나는 국면
③ 역금융장세다. 주식시장이 대세의 상승 고점에서 꺾이는 국면
④ 역실적 장세다. 주식시장이 정점에 꺾인 다음 본격적으로 하락하는 국면
'집구석 경제 >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효율적 시장가설 (0) | 2024.07.31 |
---|---|
효율적 자본시장(Efficient Capital Market) (0) | 2024.07.30 |
기술적 분석 (2) | 2024.07.28 |
기업 분석 - 양적 분석 (0) | 2024.07.27 |
기업 분석 (0) | 2024.07.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