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산유동화증권(Asset Backed Securities; ABS)
금융기관이나 기업이 보유한 다양한 자산(대출채권, 자동차 할부금, 신용카드 채권 등)을 기초로 하여 발행하는 증권
자산보유자(originator)가 특수목적회사(Special Purpose Company; SPC)를 설립해 이 기구에 기초자산의 법률적인 소유권을 양도하는 절차를 거쳐 발행 → 이 증권의 원리금은 일차적으로, 기초자산으로부터 발생하는 현금흐름으로 상환됨
자산유동화증권의 특징
- 기초자산: 기초자산( 대출채권, 리스, 신용카드 채권, 자동차 할부금 등 다양한 금융자산)을 바탕으로 발행
- 유동화: 금융기관이나 기업이 보유한 자산을 유동화하여 현금 흐름을 창출 ☞ 자산의 유동성을 높이고, 자산을 즉시 현금화할 수 있음
- 증권화 과정: 자산유동화증권을 발행하기 위해 기초자산을 특수목적회사(Special Purpose Company; SPC)로 이전, SPC는 기초자산을 관리하고, 이를 바탕으로 증권을 발행하여 투자자들에게 판매
- 리스크 분산: 다양한 기초자산을 포함하여 리스크를 분산 ☞ 특정 자산의 부실이 전체 ABS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줄여줌
- 신용등급: 신용평가 기관으로부터 신용등급을 부여받음 ☞ 투자자들이 ABS의 신용도를 평가하고 투자 결정을 내리는 데 도움을 줌
- 수익률: 기초자산에서 발생하는 현금 흐름을 바탕으로 수익을 지급 ☞ 이자와 원금 상환 형태로 투자자들에게 지급
자산유동화증권의 경제적 효과
①자산보유자의 재무 상태 개선
②자금조달 비용 경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