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모에 의한 채권발행 방식
① 공모발행
- 직접발행(매출발행 / 입찰발행)
- 간접발행(총액인수 / 잔액인수 / 위탁모집)
② 사모발행
발행회사가 채권의 발행에 따른 업무를 전문 기관에 위임하지 않고 직접 발행해 금융기관 등 특정인에게 매출하는 형태
사모는 공모에 비해 사채발행 수수료, 신문공고 등 경비를 절감하고 발행이 신속히 이루어지는 등 유리한 점이 많음
→ 생명보험회사, 은행, 증권회사 등 기관투자자가 사모의 형태로 채권발행자로부터 직접 채권 인수하고 있음
우리나라 채권 인수기관 : 증권회사, 보험회사, 은행, 종합금융회사 등
채권 발행시장의 변화
우리나라 채권 시장은 1956년 증권시장 개설 초기부터 1970년대 초반까지 국가 건설을 위해 발행된 건국국채 중심으로 이루어짐
1972년 정부가 회사채 일반공모제도 도입
1977년 2월 채권시장 육성 방안 발표
1986년 이후 채권시장은 경상수지 흑자 규모 확대로 인해 해외 부문으로부터의 통화 증발 억제하기 위해 통화안정증권 많이 발행됨
1990년 이후 경상수지의 적자와 함께 주식시장이 장기간 침체
1990년대 중반에는 회사채의 연간 발행 규모 확대
1997년 말 외환위기 이후 우리나라 채권시장은 새로운 발전의 전기 마련
1999년 한국증권선물거래소는 국채 전문 유통시장 개설, 국고채 전문딜러제도(primary dealership) 도입
2007년 7월 예비 국고채 전문 딜러 제도 폐지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