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구석 경제/공부

무상증자

JeongYeon 2024. 7. 11. 09:18

증자란 기업 설립 후 신주발행을 통해 자본금을 증가시키는 것을 말한다.

현금을 납입하는 실질적인 유상증자, 실질 재산이 증가하지 않는 형식적인 증자를 무상증자라고 한다.

 

 

 

무상증자

 ☞  잉여금에 담긴 돈을 자본금으로 옮기는 일

 이사회 및 주주총회의 결의에 의해 현금의 납입 없이 자본잉여금, 이익준비금, 기업합리화 적립금, 재무구조개선적립금법정준비금을 자본금에 전입하고 이에 해당하는 만큼의 신주를 발행주주에게 소유 주식수에 비례하여 무상으로 주는 것

 

 

무상증자의 구조

출처 : 네이버 지식백과

 

 

무상증자의 목적

☞ 실질적인 자금의 유입 없이 주식 수만 늘어나므로 일반적으로 주가 하락

 자금 조달 목적 X

 자본구성의 시정

 사내유보의 적정화

 주주에 대한 자본이득의 환원

 

 

 

무상증자의 장점과 단점

장점

주가 안정화 및 접근성 향상 → 무상증자를 통해 주식 수가 늘어나면 주가는 자연스럽게 하락한다. 이는 주식 가격이 보다 낮아지면서 소액 투자자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게 만들어 거래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기업 이미지 제고 →  무상증자는 회사가 재정적으로 안정적이고 성장 가능성이 높다는 신호를 주주와 시장에 전달한다. 이는 기업 이미지와 신뢰도를 높이는 데 도움이 된다.

유동성 증가 →  주식 수가 늘어나면 시장에서 주식의 유동성이 증가하여 매매가 보다 원활해진다. 이는 투자자들에게 매력적인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

주주 만족도 증대 → 주주들은 무상으로 추가 주식을 받으면, 심리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이는 주주 만족도를 높이는 데 기여할 수 있다.

주식 가치 조정 →  주식 수가 늘어나 주가가 하락하면, 주식이 보다 널리 거래되면서 시장에서의 평가가 보다 현실적으로 조정될 수 있다.

 

단점

주당 가치 희석 → 무상증자로 인해 주식 수가 증가하면 주당 가치가 희석된다. 이는 단기적으로 주당 수익(EPS)이 감소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실질 자산 증가 없음 → 무상증자는 단순히 회계적인 조정일 뿐, 실제로 회사의 자산이 증가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주주의 실질적인 자산 가치에는 변화가 없다.

단기적 주가 변동성 증가 → 무상증자 발표 후 주가가 일시적으로 크게 변동할 수 있다. 이는 투자자들에게 불안감을 줄 수 있다.

지배구조 변화 가능성 → 무상증자 후 주식 수가 증가하면 기존 주주들의 지분율이 변동될 수 있으며, 이는 기업의 지배구조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시장 오해 가능성 → 일부 투자자들은 무상증자를 회사의 실적 향상과 혼동할 수 있다. 무상증자는 실제로 회사의 재무 상황을 개선시키는 것은 아니므로, 오해가 발생할 수 있다.

 

'집구석 경제 >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산유동화증권(ABS)  (0) 2024.07.13
채권의 발행형태  (0) 2024.07.12
유상증자  (0) 2024.07.10
기업공개(IPO)  (0) 2024.07.09
발행시장  (1) 2024.07.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