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구석 경제

백서른여덟 번째. 뱅크런과 범위의 경제

JeongYeon 2023. 6. 2. 08:25
뱅크런(bank run)

은행의 대규모 예금인출사태를 가리키는 말이다.

금융시장 상황이 불안하거나 은행의 경영 및 건전성 등에 문제가 발생하면 예금자들은 은행에 맡긴 돈을 보장받을 수 없을 것이라는 불안감에 저축한 돈을 인출하게 된다.

은행은 지급할 수 있는 자금이 부족하게 되어 패닉 상태에 빠질 수 있다.

이를 뱅크런이라 부른다.

예금보험공사는 뱅크런과 이로 인한 금융 불안정을 방지하기 위해 예금자보호법에 의해 5,000만 원까지의 예금을 보호해 주고 있다.

 

출처 : 동아일보

 

 

출처 : 매거진 한경

 

 

범위의 경제(economies of scope)

한 기업이 여러 제품을 같이 생산할 경우개별 기업이 한 종류의 제품만을 생산하는 경우보다 평균 생산비용이 적게 들 때 범위의 경제가 존재한다고 말한다.

승용차와 트럭을 같이 생산하는 기업의 경우 소재부품이나 조립라인 등의 생산시설을 공동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을 갖게 된다.

이러한 현상은 동일한 생산요소를 사용하거나 기업 운영 및 마케팅 활동을 함께 하거나 생산물이 가진 특성 때문에 나타날 수 있다.

연구개발 · 판매 · 생산은 공동으로 하면서 제품의 종류만 달리할 경우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또한 기존 산업과 비슷한 산업에 진출할 경우 시너지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는 은행이 보험상품을 판매하는 방카슈랑스를 들 수 있다.

 

하나의 기업이 2가지 이상의 제품을 함께 생산할 경우, 2가지를 각각 따로 다른 기업에서 생산하는 경우보다 생산비용이 적게 드는 현상. 인수 합병의 이론적 근거 된다.

 

 

+ 규모의 경제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