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도체 20

2025.03.21 금요일(장후)

✔ 외인 이번주 코스피 2.7조원 가량 순매수(마이크론 호실적 및 HBM 매출 호조 소식 → 삼성전자 / SK하이닉스에 매수세 집중) → 반도체 업황 회복 기대감과 글로벌 업체 대비 저평가 매력 부각된 영향으로 풀이 됨  투자자별 매매동향    반도체 ✔ 마이크론 테크놀로지 예상치 상회하는 실적 및 가이던스 발표마이크론은 AI발 호황에 힘입어 세계 HBM 시장 규모(경쟁사 포함)가 올해 350억달러에 이를 것이라고 내다봤다. 시장 전망치를 기존 300억달러에서 17% 높여 잡은 것이다. 산자이 메흐로트라 마이크론 최고경영자(CEO)는 마이크론이 최신 HBM인 HBM3E 12단 제품 양산을 시작했다는 사실을 언급하며 “올해 수십억달러의 HBM 매출을 기대한다”고 밝혔다.다음 분기(3~5월) 실적에 대해서도..

2025.03.20 목요일(장후)

✔ FOMC에서 시장 예상대로 연방기금 목표금리 동결 + 파월 의장 경제 낙관 전망 → 시장 안도✔ 외인 현물 5,515억원, 선물 7,547계약 순매수하면서 4거래일 연속 현·선물 매수  투자자별 매매동향    반도체 ✔ 젠슨 황, 블랙웰 울트라에 삼성전자의 참여 기대 언급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가 삼성전자와 HBM(고대역폭메모리)의 협력 가능성에 대해 "삼성의 참여를 기대하고 있다"며 원론적인 입장을 밝혔다.올해 하반기 출시 에정인 AI 가속기 '블랙웰 울트라'에 삼성전자의 5세대 고대역폭 메모리 HBM3E가 탑재될 가능성에 대한 질문에 이같이 답변했다.  ✔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 상승 + 메모리 반도체 업황 개선 전망 등  ☞ 삼성전자 / SK하이닉스 / DB하이텍 / 팸텍 / HSP..

2025.03.17 월요일(장후)

외국인 매수세 유입 → 2,600선 회복 + 삼성전자 5%대 상승 투자자별 매매동향    반도체중국발 메모리 반도체 수요 확대( ☞ 레거시 반도체 가격 반등 전망) + 엔비디아 GTC 2025 +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 급등  삼성전자 5% 급등 SK하이닉스 4연속 상승中 수요 확대, 美 지원 확대 호재 작용AI 대장주 엔비디아 콘퍼런스 젠슨황 발언에 주목  ☞ 삼성전자 / SK하이닉스 / DB하이텍 / 와이씨 / 주성엔지니어링 / 테크윙 / 디엔에프 / 이오테크닉스 등  방산독일 정치권에서 인프라 투자 및 국방 특별 예산 수립 위한 기본법 개정 협상 타결 소식   ☞ 한국항공우주 / 엠앤씨솔루션 / 한화에어로스페이스 / 한일단조 / 휴니드 / 한화시스템 / LIG넥스원 / 코츠테크놀로지 / 현대로템 /..

2025.03.14 금요일(장후)

투자자별 매매동향    ✔ 트럼프, 대EU 주류 200% 관세 부과 위협 ✔ 4월 2일 상호관세 부과 방침 재확인→ 관세 불확실성 지속   반도체DRAM 가격 반등  삼성전자·SK하이닉스도 범용 생산확대 채비DDR4·DDR5 현물가 뜀박질낸드플래시도 2개월 연속 올라AI PC시장 165% 성장 관측 속올해 IT기기 수요 회복 기대감샌디스크는 가격 10% 인상도    ☞ SK하이닉스 / 리노공업 / HSPS 등  전선유럽향 케이블 공급 기대감  LS전선과 대한전선은 내셔널그리드와 프레임워크 계약을 체결했다고 14일 밝혔다. 프레임워크 계약은 정해진 기간 일정한 조건으로 서비스·물품 제공을 약속하는 것을 말한다. 내셔널그리드는 앞으로 8년간 590억파운드(약 110조원)에 달하는 15개 이상의 해저·지중 H..

2025.03.12 수요일(장후)

투자자별 매매 종합    반도체중국의 이구환신 정책 + AI 모멘텀 지속 + 메모리 반도체 수요와 가격 회복 전망 + 지난 밤 엔비디아 반등중국 경기 부양책으로 모바일 수요 회복…반도체 수요도 증가삼성 中 판매법인, 1년새 매출 두 배…SK하이닉스도 성장세 반도체 수요 회복 전망 잇따라SK하이닉스, 19만원선 탈환   ☞ 삼성전자 / SK하이닉스 / 이오테크닉스 / 디아이 / 메가터치 / 에프에스티 / 에스앤에스텍 / 케이씨텍 등  + 정부가 반도체, 이차전지, 인공지능(AI), 양자 등 국가전략기술 육성에 올해 6조8000억원을 투자하기로 했다. 철강미국으로 수입되는 철강 · 알류미늄 관세 부과 예정대로 but, 한국 수출 물량 쿼터제 X 볼트, 너트, 스프링 등 166개 파생상품은 12일부터 곧바로 ..

2025.03.07 금요일(장후)

✔ 투자자별 매매 종합  ✔ USMCA(미국 · 멕시코 · 캐나다)적용 캐나다 · 멕시코 산품의 관세 유예 → 시장은 안도보다는 피로감 호소  ✔ 마벨 테크놀로지의 실적 부진 등에 반도체 지수 하락 but, 브로드컴은 장 마감 후 급등 →  국내 반도체 영향은 제한적 호크 탄 브로드컴 CEO "AI 반도체와 인프라 소프트웨어 사업이 실적 성장을 견인했다"  삼성전자는 브로드컴과 2년 내 제품 양산에 실리콘 포토닉스 기술을 상용화하는 것을 목표로 개발 중 ☞ 퀄리타스반도체 / DB하이텍 / 리노공업 / 케이씨텍 / 하나머티리얼즈 / 어보브반도체 / 피에스케이 등 *실리콘 포토닉스 : 반도체 간 데이터 통신을 전기에서 빛으로 전환하는 방식으로, 데이터 신호 처리 속도를 10배 이상 높일 수 있어 차세대 파운..

2025.02.28 금요일

✔ 트럼프강경한 관세맨환율 급등 → 차익 실현   ✔ 엔비디아강한 실적 + 높은 AI칩 수요블룸버그 "실적 좋았지만, 대단하지 않았다"매출총이익률 가이던스 하락 75% → 73.5%(이번 분기) → 71%(다음분기 예상) 회사의 수익성을 나타내는 주요 지표인 매출총이익률 역시 소폭 하락하고 있다. 이날 발표된 엔비디아의 4분기 조정 매출총이익율(마진)은 73.5%로 시장의 예상치에 부합했다. 엔비디아는 1분기 조정 매출총이익률은 71%로 예상했는데 이는 시장의 예상치에는 기대에 못 미치는 수치다. 한때 엔비디아의 매출총이익률은 78%에 달했지만 서서히 줄어드는 모양새다.이와 관련 시장에서는 엔비디아가 더 복잡하고 어려운 제품을 설계하면서 매출 원가가 늘어나고 이익이 줄어드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를 하고 있..

2025.02.20 목요일

반도체 정책 ✔ K칩스법 업황 ✔ 트렌드포스 "낸드사 감산 계획" ✔ 삼성전자 평택 파운드리 셧다운 해제 이슈 ✔ 엔비디아 SOCAMM - 삼성전자 / SK하이닉스와 협의 ✔ 갤럭시S25 사전예약 역대 최고치 ✔ SK하이닉스 HBM3E 12단 매출 비중 확대 ✔ 드라켄밀러 "마이크론 40만주 보유 보고" ✔ JP모건 "한미반도체, 비중확대 15만원 제시" 수요 ✔ 딥시크 - 온디바이스 AI ✔ 윈도우 10 지원 종료 - 중국 보조금 ✔ 스마트폰 · pc업체 메모리 모듈 재고 ↓   ▶ 퀄컴 / 미디어텍 / 마이크론 → 중국 내 부품 재고 소진  ▶ DB하이텍 가동률 상승→ 부천 공장 가동률 100% 육박→ 음성 공장 포함 가동률 75% → 85%    ▶ MLCC 삼성전기 가동률 84% → 90%  결국..

딥시크 쇼크

중국의 생성형 AI 서비스 딥시크(DeepSeek) 쇼크가 글로벌 산업계를 강타했다.  2023년 5월 중국 항저우서 창업한 딥시크는 이달 10일 본격적으로 미국 진출에 나서며 범용 AI 모델 딥시크 V3와 공개추론모델 R1을 출시했다. 딥시크 앱은 출시 직후 미 현지 AI 전문가들로부터 연일 호평을 받으며 27일(현지시간) 미국 애플 앱스토어에서 오픈 AI의 챗GPT를 제치고 무료 다운로드 앱 1위에 등극하기도 했다.  딥시크가 엔비디아의 '고사양이 아닌 '저사양' AI 가속기 'H800'을 쓰면서 반도체 투자(컴퓨팅) 비용을 557만6000달러(약 78억8000만원)밖에 안 썼다는 소식에 엔비디아 주가는 27일(현지 시각) 뉴욕 시장에서 16.97% 급락했다. AI 기업들이 엔비디아의 H100, GB..

CES 2025

Consumer Electronics Show 2025   기조연설 기조연설 일정(현지시간) 1월 6일 월요일18시 20분 ☞ 젠슨 황 1월 7일 화요일8:30 - 10:00 ☞ 유키 쿠스미 / 킨지 파브리지오 / 게리 샤피로11:00 ☞ 제니퍼 위츠 / 애슐리 플라워스13:30 ☞ 린다 야카리노16:55 ☞ 에드 바스티안 1월 8일 수요일9:00 ☞ 마틴 룬드스테드14:00 ☞ 줄리 스윗LIT 저녁식사 ☞ 테케드라 N. 마와카나  미리보는 CES 2025 트렌드AI · 로보틱스 - 온디바이스AI, AI에이전트, 로봇→ Mixi(일본) - Roim / SK텔레콤 - 스캠뱅가드 / 고스트패스 - 생체 인증 결제솔루션 모빌리티 - 주행, 보안, 연결성 SW 동력→ 현대모비스 - 이용자 편의 및 안전 개선 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