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구석 경제

열일곱 번째. 경영지도비율과 경영평가지표

JeongYeon 2023. 2. 1. 08:46
경영지도비율

금융위원회는 「은행법」 제45조, 「은행업 감독규정」 제26조 및 「동 시행세칙」 제17조에 의거 금융기관 경영의 건전성 확보를 통한 신용 질서유지 및 예금자 보호를 목적으로 BIS 자기자본비율, 원화 유동성비율 등의 경영지도비율을 정하여 운용하고 있다.

동 지도 비율을 충족하지 못하는 은행에 대하여 금융위원회가 경영개선 권고, 경영개선 요구 및 경영개선 명령 등의 조치를 할 수 있다.

 

* BIS자기자본비율 : 자기자본비율은 총자산 중에서 자기자본이 차지하는 비중을 나타내는 지표로 기업 재무구조의 건전성을 가늠하는 지표

* 원화유동성비율 : 고객의 예금 청구에 대한 지급, 기타 채무의 상환 및 신규대출 취급, 경영에 필요한 자산의 취득과 적정한 성장에 필요한 자금 등 은행의 자금 수요에 적절히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인 유동성의 정도를 나타내는 비율

 

 

경영평가지표

은행경영실태평가 시 이용하는 경영평가지표크게 계량지표와 비계량 평가항목으로 구분할 수 있다.

계량지표는 은행 본점(특수은행 포함) 및 금융기관 현지법인에 대하여 4개 부문(자본적정성, 자산건전성, 수익성, 유동성) 13개 지표를 이용한다.

비계량 평가항목의 경우 일반 은행 본적 및 금융기관 현지법인에 대하여 6개 부문(자본 적정성, 자산건전성, 경영관리의 적정성, 수익성, 유동성, 리스크 관리) 29개 항목을 이용한다.

외국은행 국내 지점 및 금융기관 국외 지점에 대해서는 4개 부문(리스크 관리, 경영관리 및 내부통제, 법규준수, 자산건전성) 18개 지표를 이용하고 있다.

특수 은행의 경우 6개 부문(자본 적정성, 자산건전성, 법규준수, 위험관리, 수익성, 유동성) 25개 비계량 평가항목을 이용한다.

경영 평가를 실시하는 데 가장 핵심적인 지표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