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종합지수(CI; Composite Indes)
산업생산지수, 소매판매액지수 등 개별 경제지표들은 경제활동의 한 측면만을 반영하고 있어 나라 경제의 전반적인 상황을 종합적으로 파악하기 어렵다. 이에 따라 개별 경제지표들을 가공 · 합성하여 경기종합지수를 작성하여 활용하고 있다.
경기종합지수는 부문별로 경기를 잘 나타내는 경제지표들을 선정한 다음 계절 및 불규칙 요인의 제거, 진폭의 표준화 등의 가공 과정을 거친 후 합산하여 하나의 지수로 만든 것이다.
경기종합지수는 지수의 변동 방향으로 경기변동의 방향을 가늠할 수 있다.
지수의 변동 폭으로 경기변동의 크기를 알 수 있다.
→ 경기 흐름을 종합적으로 판단하는 데 매우 유용하다.
한편, 경기종합지수는 경기에 대한 선 · 후행 관계에 따라 선행종합지수, 동행 종합지수, 후행종합지수로 구분한다.
선행종합지수는 비교적 가까운 장래의 경기 동향을 예측하는 데 활용된다.
동행종합지수는 현재의 경기 상태를 판단하는 데 이용된다.
후행종합지수는 경기변동을 사후에 확인하는 데 활용된다.
☞ 주요 경제 지표의 움직임을 지수 형태로 나타낸 것
경상수지
재화나 서비스를 외국과 사고파는 거래 즉 경상거래의 결과로 나타나는 수지를 말한다.
경상수지는 상품수지, 서비스수지, 본원소득수지 및 이전소득수지로 구성된다.
그런데 이 항목들은 금융계정 구성항목과 비교하면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성격을 지닌 거래들로 이루어져 있다. 그래서 경제 발전 및 정책변화의 효과를 측정하거나 전망하는 데 널리 이용된다.
* 국제수지 : 일정기간 한 나라가 다른 나라와 행한 모든 경제적 거래를 체계적으로 분류한 것을 말한다. 이를 표로 나타낸 것을 국제수지표라고 한다.
'집구석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열일곱 번째. 경영지도비율과 경영평가지표 (0) | 2023.02.01 |
---|---|
열여섯 번째. 경영실태평가 및 은행 경영 실태 등급 평가제도 (0) | 2023.01.31 |
열네 번째, 경기 순응성과 경기조절정책 또는 경제안정화정책 (2) | 2023.01.29 |
열세 번째. 경기와 경기동향지수(경기확산지수) (0) | 2023.01.28 |
열두 번째. 겸업주의와 전업주의 (0) | 2023.01.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