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체인과 탈중앙화(decentralization)
블록체인은 공유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저장함으로써 데이터의 중앙 집중 보관에 따르는 리스크를 제거한다.
탈중앙화된 블록체인은 계획되지 않은 임시(ad-hoc) 메시지를 송부하고 분산된 네트워크를 활용한다.
이 네트워크는 데이터의 중앙 집중에 따른 컴퓨터 범죄자(cracker)가 악용할 수 있는 취약점이 거의 없다.
블록체인은 보안 방식으로서 공개키 암호방식(public-key cryptography)을 이용한다.
이 공개키는 '긴 무작위 숫자 띠'로서 블록체인의 주소를 뜻한다.
이 탈중앙화 시스템에서 모든 참여자(node 또는 miner)는 각 블록체인의 사본을 가진다.
데이터 품질은 대량 데이터베이스의 복제와 컴퓨터 처리에 의한 신뢰로 유지된다.
중앙에 집중된 '공식적인' 사본은 없으며 어떤 사용자도 다른 사용자보다 더 신뢰받지 않는다.
즉 거래 내용은 소프트웨어가 활용된 네트워크로 송부 → 메시지는 차별 없이 전달 → 채굴자는 거래를 검증해서 기존 블록에 추가한 후 다른 채굴자에게 완성 블록 송부
블록체인은 변경 사항을 연속적으로 올리기 위해 작업증명(proof-of-work) · 지분증명(proof-of-stake) 등 시간 인증(time-stamping) 수단을 활용한다.
이처럼 블록체인 덕분에 탈중앙화가 이루어진다.
하지만 블록체인을 통해 더 큰 데이터를 운용하려면 더 비싼 컴퓨터 자원이 필요하기 때문에 역설적으로 탈중앙화된 블록체인은 대규모 설비를 갖춘 채굴자(node)에게 더 큰 힘이 집중되는 중앙화 리스크를 수반한다.
* 작업증명(proof-of-work) : 새로운 블록(block)을 블록체인(blockchain)에 추가하는 작업을 완료했음을 증명하는 합의 알고리즘.
* 지분증명(proof-of-stake) : 암호화폐를 보유한 지분율에 비례하여 의사결정 권한을 주는 합의 알고리즘. 노드(node)가 보유한 자산을 기준으로 권한을 분배하여 합의하고 보상을 분배한다.
'집구석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쉰일곱 번째. 블록체인 (0) | 2023.06.22 |
---|---|
백쉰여섯 번째. 브렉시트(Brexit)와 브릭스 (0) | 2023.06.21 |
백쉰다섯 번째. 브레튼우즈체제 (0) | 2023.06.20 |
백쉰네 번째. 불완전경쟁시장과 불태화정책 (0) | 2023.06.19 |
백쉰세 번째. 분수효과 (0) | 2023.06.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