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기 화폐(견양화폐)
은행권 및 주화의 모양, 크기, 손상 정도, 위 · 변조 판단, 전시 및 연구실험 등을 위해 별도 제조하거나 사용 중인 화폐에서 채취한 화폐를 말한다.
보기화폐에는 현용 보기 화폐, 연구 · 시험용 보기 화폐, 외국 보기 화폐 및 고화폐류 등이 있다.
현용 보기 화폐는 신종화폐나 현용 화폐 중에서 보관, 전시, 대여, 배부 등을 목적으로 보기용으로 제조하거나 한국은행이 보유하고 있는 화폐에서 보기용으로 채취한 화폐이다.
연구 · 시험용 보기 화폐는 화폐의 제조, 정 · 검사, 위조 및 변조화폐의 판별 등을 위해 시험용으로 제조하거나 한국은행이 보유하고 있는 화폐에서 채취한 완제품 또는 반제품 상태의 화폐, 연구목적 등으로 채취한 위조 또는 변조화폐 및 품질 불량 화폐다.
외국 보기 화폐는 외국화폐 또는 외국보기화폐를 보기용으로 한국은행이 입수한 화폐다.
고화폐류는 국내외에서 사용된 화폐로서 그 통용력이 상실되거나 사실상 유통되지 않는 화폐 및 화폐 유사품 등을 말한다.
조선은행 백원권
보완자본(Tier 2)
보완자본은 요건을 충족하는 보완자본증권 및 이와 관련된 자본잉여금, 자회사가 발행한 보완자본증권의 일부 제삼자가 보유분, 특정 요건을 충족하는 대손충당금 등으로 구성된다.
해당 은행이 발행한 증권이 보완자본증권으로 인정받기 위해서는 예금자 · 일반채권자보다 후순위, 최저 만기 5년, 금리 상향조정을 비롯한 중도 상환 유인이 없을 것 등 총 9개 요건을 충족해야 한다.
신용리스크 측정 시 표준방법을 사용하는 은행이 설정한 일반 대손충당금(general provisions)과 내부등급법 사용 은행이 예상 손실을 초과해 적립한 적격 대손충당금은 규제자본과 동일한 예상외 손실을 흡수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고 간주해 일정 범위(각각 총 위험가중자산의 1.25% 및 신용 위험가중자산의 0.6%) 내에서 보완자본(supplementary capital)에 가산할 수 있다.
대손충당금 : 사내에 유보해둔 자금
위험가중자산 : 빌려준 돈을 위험에 따라 다시 계산한 것
☞ 자기 자본은 아니지만, 국제 결제 은행으로부터 자기 자본으로 인정될 수 있는 조건을 갖추고 있는 자본
'집구석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마흔세 번째. 보호무역주의와 복수통화바스켓제도 (0) | 2023.06.08 |
---|---|
백마흔두 번째. 보완재와 보통주자본(Common Equity Tier 1) (0) | 2023.06.07 |
백마흔 번째. 변동금리와 변동금리부채권(FRN) (0) | 2023.06.04 |
백서른아홉 번째. 법률리스크와 베블런효과 (0) | 2023.06.03 |
백서른여덟 번째. 뱅크런과 범위의 경제 (0) | 2023.06.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