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장외시장 2

파생상품시장과 장외시장

파생상품시장 우리나라에서는 1996년 KOSPI 200 주가지수선물이 한국증권거래소에 상장되면서 선물시장이 개설되었다. KOSPI 200 주가지수선물은 상장 이후 꾸준한 성장세 보이며 유가증권시장의 중요한 위험관리 수단으로 정착되어 가고 있다. 1999년 한국선물거래소가 개소되면서 국채선물, CD 금리선물, 미국 달러선물 등의 금융선물 외에 상품선물로서 금선물 등의 거래를 시작했다. 2005년 한국증권거래소와 한국선물거래소가 한국거래소로 통합 → 거래소 내의 파생상품시장 본부가 선물과 옵션거래 등 모든 파생상품 거래를 총괄하고 있다. 2016년 말 기준 KOSPI 200을 중심으로 지수선물, 국채선물, 통화선물, 금선물, 돈육선물, 주식선물 등과 변동성 지수를 기초자산으로 한 변동성 지수 선물 등의 다양..

유통시장

(증권의) 유통시장 이미 발행된 증권이 투자자 상호 간에 매매되는 시장 ☞ 주식, 채권 등 증권을 매각해 투자자금을 회수하거나 이미 발행된 증권을 취득해 금융자산을 운용하는 시장 증권의 2차 시장이라고도 한다. 유통시장에서의 거래는 투자자 상호 간의 거래이므로 기업의 자금조달과 직접적인 관련 없음 but 유통시장이 발달되어 있지 않으면 주식의 시장성이 없어 발행시장이 위축될 수밖에 없음 유통시장은 주식이나 채권의 시장성과 유동성 높여 일반투자자의 투자 촉진함으로써 발행시장에서의 자본조달을 원활하게 해줌 불특정 다수의 투자자가 경쟁적으로 참여해 증권의 공정한 가격을 형성, 유통시장에서 형성된 시장가격은 앞으로 발행될 증권의 가격결정 하는 기능함  유통시장의 구조 크게 거래소시장과 장외 시장으로 구분  거래..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