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동행종합지수 2

백열두 번째. 동행종합지수와 듀레이션

동행종합지수 개별 경제지표로는 파악하기 어려운 국민경제의 총체적인 경기 수준을 파악하기 위해 경기종합지수를 작성한다. 경기종합지수는 선행종합지수, 동행종합지수, 후행종합지수 3개가 작성되고 있으며, 기준 연도 수치가 100이 되도록 산출하고 있다. 동행종합지수는 공급 측면의 광공업생산지수, 도소매업을 제외한 서비스업 생산지수, 실질가격 기준 수입액, 비 농림어업취업자 수 등과 수요 측면의 소매판매액지수, 내수 출하지수, 건설기성액 등과 같이 경기순환이 함께 변동하는 개별지표를 가공 · 종합해 만든 지수로 현재 경기 상황의 판단에 이용된다. * 선행종합지수 : 건설수주, 재고순환, 소비자기대지수 등의 지표처럼 실제 경기순환에 앞서 변동하는 개별지표를 가공 · 종합하여 만든 지수로 향후 경기변동의 단기 예측..

집구석 경제 2023.05.07

열다섯 번째. 경기종합지수와 경상수지

경기종합지수(CI; Composite Indes) 산업생산지수, 소매판매액지수 등 개별 경제지표들은 경제활동의 한 측면만을 반영하고 있어 나라 경제의 전반적인 상황을 종합적으로 파악하기 어렵다. 이에 따라 개별 경제지표들을 가공 · 합성하여 경기종합지수를 작성하여 활용하고 있다. 경기종합지수는 부문별로 경기를 잘 나타내는 경제지표들을 선정한 다음 계절 및 불규칙 요인의 제거, 진폭의 표준화 등의 가공 과정을 거친 후 합산하여 하나의 지수로 만든 것이다. 경기종합지수는 지수의 변동 방향으로 경기변동의 방향을 가늠할 수 있다. 지수의 변동 폭으로 경기변동의 크기를 알 수 있다. → 경기 흐름을 종합적으로 판단하는 데 매우 유용하다. 한편, 경기종합지수는 경기에 대한 선 · 후행 관계에 따라 선행종합지수, 동..

집구석 경제 2023.01.3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