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 78

증시 일정(12.23 ~ 12.27)

12월 23일 월요일▶ 탄소중립 얼라이언스 선언식 ▶ 명태균 · 김영선 등 '정치자금법 위반 재판' 첫 변론기일  ▶ 헌법재판소 재판관 후보 인사청문회- 여야는 인사청문위원회 구성하고, 12월 23일 ~ 12월 24일 헌법재판소 재판관 후보 인사청문회 열 예정  ▶ 주한 중국대사 부임- 다이빙 신임 주한 중국대사 한국에 부임 예정 GS리테일 변경상장(감자 / 회사분할)- 분할 후 존속회사 : 주식회사 지에스리테일- 분할설립회사 : 주식회사 지에스피앤엘(GS P&L.,Ltd.) 에스엘에너지 상장폐지- 기업의 계속성 및 경영의 투명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상장폐지기준에 해당 미국▶ 11월 시카고 연은 국가활동지수한국 시간 : 22시 30분 ▶ 12월 소비자신뢰지수한국 시간 : 24일 0시 ▶ 2년 만기 국..

sLLM(소형언어모델)

sLLM이란? 소형언어모델(sLLM)을 뜻하는 단어 구글, 마이크로소프트(MS), 메타 등 빅테크 기업들이 올해 들어 sLLM을 선보이며 이 시장에 뛰어들고 있다. 훈련과 구동에 엄청난 비용이 드는 거대언어모델(LLM) 대신 가성비가 좋은 sLLM이 주목받고 있다. sLLM은 경량화를 통해 응답 속도를 향상했고, 입력 데이터 최적화 등으로 LLM 못지 않은 효율을 낼 수 있다는 점이 장점이다. ‘온디바이스 AI’로 활용되기에도 적합하다. 온디바이스 AI는 클라우드가 아니라 스마트폰, 노트북 등 기기 자체에 AI 서비스가 탑재된 것을 말하는데, 제한된 성능과 공간에서 AI를 구동하려면 작은 모델이 더 적합하다. 국내 기업들도 sLLM을 속속 내놓고 있다. 네이버는 최근 하이퍼클로바X의 신규 경량화 모델인 ..

AI 반도체 소 · 부 · 장

인공지능(AI) 반도체 시장이 성장하면서 관련 소부장(소재·부품·장비)도 함께 시장의 관심을 받고 있다. 한미반도체·주성엔지니어링·원익IPS는 AI 반도체 필수 장비를 생산하는 SK하이닉스·삼성전자의 든든한 지원군이다. 주요 소부장 기업들은 AI 생태계 확장에 발맞춰 설비투자(CAPEX)를 지속하며 차세대 AI 반도체 장비 개발에도 주력하고 있다.가장 빠르게 수혜를 입고 있는 곳은 반도체 후공정(OSAT) 분야다. 고객사 성장에 힘입어 최대 실적을 경신하는 한편, 차세대 AI 반도체 장비 투자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    한미반도체는 HBM을 생산하는데 필수인 TC본더 장비를 제조한다. 여러 개의 D램을 쌓아 만드는 HBM은 각각의 D램을 고정하는 것이 핵심인데 한미반도체의 TC본더가 이 역할을 한다. ..

AI 밸류체인 ③

기업들의 고민은 'AI 수익화'다. AI 기업들은 기업 · 소비자 간 거래(B2C)보다 B2B거시장에서 매출을 낼 가능성을 높게 점치고 있다. 기업들이 생성형 AI를 도입해 단순반복 업무를 줄이면서 비용을 절감하거나 새로운 서비스에 활용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기 때문이다. AI 기업들에 생성형 AI의 기능에 대해 문의하거나 유료로 기술검증(PoC)을 하는 기업도 많다. 글로벌 시장에 불거진 'AI 회의론'도 한국 AI 기업들이 넘어야 할 산이다. AI 기술은 발전했지만 정작 AI로 돈을 버는 기업이 많지 않아 AI 회의론이 제기됐다.생성형 인공지능(AI)에 대한 기대와 우려가 커지고 있지만, 일각에서는 ‘AI 혁명’이 이미 힘을 잃고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AI가 할 수 있는 일이나 창출할 이익이 ..

AI 밸류체인②

생성형 AI의 인프라 밸류체인에서 데이터 다음으로 중요한 요소는 반도체다. AI가 데이터를 학습하려면 고성능 반도체가 필수다. 특히 AI 학습에 특화된 시스템 반도체가 필요하다. 이 분야를 선도하는 기업은 엔비디아로, 이들이 설계한 H100을 비롯한 호퍼 시리즈는 현재 AI 반도체 시장에서 가장 높은 수요를 자랑한다. 실제로 오픈AI, 구글, 메타 등 AI 빅테크 기업과 전 세계 주요 데이터 센터 운영사들은 엔비디아의 호퍼 시리즈를 구매했다.  엔비디아는 호퍼 시리즈에 이어 차세대 AI 반도체 블랙웰 출시를 준비하고 있다.      메모리 반도체는 AI 연산 결과를 저장하는 역할을 하며, 이 시장은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주도하고 있다.특히 SK하이닉스는 엔비디아의 AI 반도체에 장착되는 고대역폭 메모..

증시 일정(11.4 ~ 11.8)

11월 4일 월요일휴장일본 ▶ SKT, 'SK AI 서밋 2024'개최11월 4일 ~ 11월 5일, 코엑스 외국계 주요 인사들이 한국 찾는 것을 비롯해 국내 AI분야 대가들도 대거 참석 ▶ 한국거래소, 2차 주식선물 · 옵션 추가상장주식선물 39종목(유가증권시장 2종목, 코스닥 12개 종목), 주식옵션 6종목(유가증권시장 5종목, 코스닥 1개종목) 추가 상장 예정 이번 추가상장으로 주식옵션은 삼성바이오로직스, 삼성생명 등이 기초주권으로 선정되어 유가증권시장 시총 최상위 종목 대부분에 대한 주식옵션 거래가 가능해지게 될 것으로 알려짐 ▶ 주식 파생상품 조기 개장현재 대표 주가지수 파생상품에만 적용하던 조기 개장을 전체 상품으로 확대 시간단일가 호가접수 시간은 기존 오전 8시 30분 ~ 9시 → 8시 35분..

AI 밸류체인 ①

오픈AI의 챗GPT를 계기로 생성형 AI 시장은 미국이 주도하고 있다. 미국의 주요 기업들은 데이터 → 반도체 → 데이터센터까지 이어지는 인프라와 데이터 → 대규모 언어 모델 → 서비스까로 연결되는 소프트웨어(SW) 영역까지 모두 미국의 주요 기업들이 이끌고 있다. 특히 애플, 메타, 마이크로소프트(MS), 아마존, 엔비디아, 구글, 테슬라는 '매그니피센트 세븐'이라 불리며 증시를 주도하는 위치에 있다. 이에 맞서는 국가로는 중국이 있으며, AI 관련 논문과 특허 수에서 이미 미국을 앞지르고 있다. 또한, 프랑스와 영국을 필두로 한 유럽 주요국가들도 자체 LLM 개발에 나섰다. 정보기술(IT) 경쟁력이 뒤쳐진다는 평가를 받던 일본도 AI 국가전략을 발표하며 정부 차원에서 AI 키우기에 나섰다. 생성형 A..

전고체 배터리

출처 : https://youtu.be/aO_GoxIwUF8?si=RhNti2bRmDeLryL7배터리 4대 소재① 양극② 음극③ 분리막④ 전해질 전고체는 기존 액체 상태의 전해질이 고체로 바뀐 배터리 전기차 배터리의 용량이 늘어나야 하는 이유1. 주행 가능 거리전기차 주행 거리 늘리는 방법 = 배터리 용량 확대현재 운행중인 전기차 주행거리는 내연기관차의 600~700km를 따라가기 약간 힘든 상태 2. 자율 주행자율주행으로 갈 경우 차량 내 데이터 사용 급증 → 전기차용 배터리 용량 증대 필수 * 자율 주행이 전기차 기반으로 될 수 밖에 없는 이유: 내연기관차보다 에너지 효율성이 좋고, 들어가는 부품이 적어 공간효율성이 높아서 자율주행에 적합  전기차 배터리 용량 높이는 방법① 배터리 개수 늘리기→ 전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