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구석 경제/공부

AI 밸류체인 ①

JeongYeon 2024. 10. 28. 14:08

오픈AI의 챗GPT를 계기로 생성형 AI 시장은 미국이 주도하고 있다.
미국의 주요 기업들은 데이터 → 반도체 → 데이터센터까지 이어지는 인프라데이터 → 대규모 언어 모델 → 서비스까로 연결되는 소프트웨어(SW) 영역까지 모두 미국의 주요 기업들이 이끌고 있다.
특히 애플, 메타, 마이크로소프트(MS), 아마존, 엔비디아, 구글, 테슬라는 '매그니피센트 세븐'이라 불리며 증시를 주도하는 위치에 있다. 이에 맞서는 국가로는 중국이 있으며, AI 관련 논문과 특허 수에서 이미 미국을 앞지르고 있다.

출처 : 이데일리

 
또한, 프랑스와 영국을 필두로 한 유럽 주요국가들도 자체 LLM 개발에 나섰다. 정보기술(IT) 경쟁력이 뒤쳐진다는 평가를 받던 일본AI 국가전략을 발표하며 정부 차원에서 AI 키우기에 나섰다.
 
 

반응형

 
 
생성형 AI의 시작은 데이터에서 시작된다. AI는 양질의 데이터를 학습하며 점점 발전하는데, 빅데이터를 보유한 기업이 AI 경쟁에서 유리하다. 대표적으로 구글메타가 이에 해당한다.
 
구글은 세계 검색시장을 거의 장악해 방대한 데이터를 축적해왔으며, 이를 기반으로 AI 언어 모델인 '제미나이'를 개발했다.
 
메타오픈소스 LLM인 '라마'를 출시했으며, 세계 각국의 AI 서비스 기업들은 이를 활용해 고유의 서비스를 개발하고 있다. 사용자가 늘어날수록 메타는 라마 생태계를 확장할 수 있게 된다.
 

*오픈소스 : 무상으로 공개되는 소스코드나 SW

 
 
한국의 대표적인 데이터 기업은 네이버 카카오다.
네이버는 한국 사용자들이 생성한 검색어와 콘텐츠 데이터를 바탕으로 LLM '하이퍼클로바X'를 개발했다
대부분의 한국인들이 사용하는 모바일 플랫폼 '카카오톡'을 보유한 카카오대화형 AI 메이트 서비스 '카나나'를 내년에 출시할 예정이다.

출처 : 전자신문

 
 
 
 
 

출처 : 블로터

728x90

'집구석 경제 >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AI 밸류체인 ③  (11) 2024.11.10
AI 밸류체인②  (7) 2024.11.08
전고체 배터리  (5) 2024.09.24
옵션시장  (0) 2024.08.07
한국거래소의 선물상품  (0) 2024.08.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