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리선물(interest rate futures)
기초자산인 금리를 거래 대상으로 하며 현재의 시점에서 정한 가격으로 미래의 특정 시점에서 사거나 팔 것을 약정하는 계약을 말한다.
금리선물의 대표적인 상품은 기초자산별로 다양한 만기의 국채선물이다.
3년 국채선물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기초자산은 최종결제일 현재 만기 3년, 액면금액 1억 원, 표면금리 5%, 반기별로 이자를 지급하는 가상의 국고채권이다.
가격의 표시 방법은 액면금액 1억 원을 100으로 환산하여 소수점 둘째 자리까지 표시한다.
최소가격 변동 폭인 1tick의 크기는 0.01인데 그 가치는 가상채권 가격의 10,000원에 해당된다.
국고채 금리 1bp(0.01%)는 국채선물 가격 3tick과 거의 동일하다.
투자자들은 금리변동위험 헤지(hedge) 및 투기적 목적으로 국채선물을 거래한다.
일반적으로 은행, 보험사 등 기관투자가들은 현물채권을 다량으로 보유하고 있으므로 향후 시장금리가 상승하면 채권가격이 하락하는 금리위험에 노출되어 있다.
이런 위험을 회피하기 위해 국채선물을 매도(시장금리 상승에 따른 보유채권의 가격 하락이 국채선물 매도에 따른 이익으로 상쇄)하게 되는데 이를 헤지 거래라고 한다.
반면 보유채권 없이 국채선물 가격의 방향을 예측하고 이를 바탕으로 국채선물을 매수 또는 매도하여 이익을 추구하는 거래를 할 수 있는데 이를 투기적 거래라고 한다.
국채선물의 경우 거래증거금률이 매우 낮아(3년 만기, 0.5%)레버리지가 매우 높으므로 헤지펀드 등 외국인들이 이런 투기적 거래를 많이 이용하고 있으며 국채선물 가격에 미치는 영향도 상당히 크다.
한편 금리선물시장에서의 가격 움직임을 보고 향후 시장금리가 어떤 방향으로 움직일 것인지를 예측하기도 한다.
특히 미국의 페더럴펀드 금리선물(federal funds futures)은 시장참가자들에게 향후 미 연준이 통화정책을 어떤 방향으로 운용할 것인지를 가늠해 볼 수 있는 지표 역할을 하기도 한다.
☞ 금리 변동에 따른 위험에 대비하기 위하여 이용하는 금융 기법. 반드시 일정한 거래소인 장내 시장에서만 이루어진다.
'집구석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예순네 번째. 금리자유화 (0) | 2023.03.20 |
---|---|
예순세 번째. 금리스왑 (0) | 2023.03.19 |
예순한 번째. 글로벌가치사슬(GVC)과 글로벌금융안전망 (0) | 2023.03.17 |
예순 번째. 글래스-스티걸법 (0) | 2023.03.16 |
쉰아홉 번째. 근원인플레이션율 (0) | 2023.03.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