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구석 경제

마흔한 번째. 국내 공급물가지수와 국내신용

JeongYeon 2023. 2. 25. 08:41
국내 공급물가지수

생산자물가지수의 국내 출하품뿐만 아니라 수출입물가지수의 수입품을 모두 포함해 가공 정도에 따라 원재료, 중간재 및 최종재로 구분하여 지수를 편제함으로써 물가 파급과정을 단계별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한 지수기존에 작성했던 가공단계별물가지수(stage-of-processing index)를 서비스 부문까지 확장한 것이다.

생산자물가지수는 기업 간의 중간 거래액을 포함한 국내 출하액을 모집단으로 채택해 조사 대상 품목을 선정하고 가중치를 결정하기 때문에 원재료, 중간재 및 최종재에 해당하는 모든 품목이 포함되어 있다.

그러나 국내 공급물가지수는 이러한 조사 대상 품목을 각각의 가공단계에 따라 분리하여 원재료 지수, 중간재 지수 및 최종지수로 나누어 작성한다.

따라서 생산자물가지수에서는 원재료, 중간재, 최종재가 구분 없이 혼재되어 있다.

반면, 국내 공급물가지수에서는 가공단계별로 가격변동이 중복으로 계산될 여지가 줄어든다.

특히 소비자 물가지수와 포괄범위가 일치하는 최종소비재지수를 이용해 소비자 물가의 변동 요인을 수입품과 국산품으로 구분해 분석이 가능하고 자본재지수는 기업의 투자 여건 분석에 활용할 수 있다.

 

<국내공급물가지수>

 계정코드별 2022.07 │ 2022.08 2022.09 2022.10 2022.11 2022.12

 총지수 (2015=100) 128.70 127.27 128.45 128.87 126.83 124.78
 원재료 (2015=100) 209.88 197.73 202.81 199.48 190.18 177.87
 원재료국내 (2015=100) 141.14 142.74 143.31 136.82 134.55 138.87
 원재료수입 (2015=100) 226.88 210.99 217.28 214.90 203.72 186.87
 원재료제조용 (2015=100) 208.16 199.06 201.30 195.20 185.69 173.05
 원재료제조용(국내) (2015=100) 139.60 142.35 144.70 136.41 132.67 137.10
 원재료제조용(수입) (2015=100) 224.21 212.01 214.20 208.77 197.82 180.75
 원재료건설용(국내) (2015=100) 122.36 122.36 122.50 120.55 121.03 121.03
 원재료연료 (2015=100) 235.03 205.03 227.11 236.54 224.59 208.77
 원재료연료(국내) (2015=100) 125.86 125.86 125.86 125.86 125.86 125.86
 원재료연료(수입) (2015=100) 234.90 204.86 226.97 236.40 224.45 208.62
 원재료기타 (2015=100) 144.28 142.26 137.07 136.26 138.60 142.76
 원재료기타(국내) (2016.12=100) 147.88 145.80 140.49 139.66 142.05 146.31
 중간재 (2015=100) 126.87 125.83 126.73 127.61 125.99 124.37
 중간재국내 (2015=100) 123.26 122.48 122.61 123.68 123.33 122.68
 중간재수입 (2015=100) 145.95 143.55 148.65 148.46 139.95 133.12
 중간재제조용 (2015=100) 128.61 126.51 128.06 128.12 125.24 122.87
 중간재제조용(국내) (2015=100) 122.80 120.76 120.97 121.34 120.41 119.62
 중간재제조용(수입) (2015=100) 142.25 140.00 144.81 144.11 136.46 130.26
 중간재건설용 (2015=100) 145.93 144.55 144.38 144.71 144.57 143.83
 중간재건설용(국내) (2015=100) 146.63 145.10 144.52 144.79 145.12 144.89
 중간재건설용(수입) (2015=100) 136.90 137.68 144.19 145.35 137.99 129.25
 중간재연료・동력 (2015=100) 156.94 156.95 158.89 168.80 165.90 160.73
 중간재연료・동력(국내) (2015=100) 149.04 149.89 151.56 161.59 160.95 156.84
 중간재연료・동력(수입) (2015=100) 243.57 232.71 237.97 245.30 213.22 194.85
 중간재기타 (2015=100) 115.20 115.44 115.51 115.76 115.75 115.66
 중간재기타(국내) (2015=100) 114.84 115.08 114.99 115.19 115.30 115.36
 중간재기타(수입) (2015=100) 140.57 140.48 151.13 155.39 147.28 137.75
 최종재 (2015=100) 114.34 114.28 115.13 115.53 114.18 113.37
 최종재국내 (2015=100) 114.63 114.58 114.56 114.80 114.42 114.39
 최종재수입 (2015=100) 113.02 112.97 118.34 119.52 113.18 108.30
 최종재자본재 (2015=100) 112.72 112.80 115.41 116.51 114.24 112.45
 최종재자본재(국내) (2015=100) 109.23 109.37 110.00 110.72 110.93 111.34
 최종재자본재(수입) (2015=100) 118.46 118.42 124.32 126.02 119.67 114.26
 최종재소비재 (2015=100) 114.32 113.74 115.12 115.49 113.27 111.74
 최종재소비재(국내) (2015=100) 115.70 114.96 115.17 115.38 114.45 113.88
 최종재소비재(수입) (2015=100) 109.11 109.04 114.07 114.95 108.65 104.11
 최종재내구재 (2015=100) 97.80 97.42 98.33 98.60 96.05 94.75
 최종재내구재(국내) (2015=100) 96.34 96.05 94.74 94.42 94.13 94.20
 최종재내구재(수입) (2015=100) 100.61 100.07 104.81 106.10 99.65 95.98
 최종재비내구재 (2015=100) 122.78 122.10 123.70 124.13 122.09 120.46
 최종재비내구재(국내) (2015=100) 123.51 122.58 123.42 123.85 122.66 121.83
 최종재비내구재(수입) (2015=100) 118.40 118.89 124.22 124.62 118.52 113.02
 최종재서비스 (2015=100) 115.42 115.88 115.51 115.67 115.56 115.85
 생산재(원재료+중간재) (2015=100) 136.24 134.04 135.38 135.83 133.40 130.66
 생산재국내 (2015=100) 123.71 123.01 123.15 123.99 123.59 123.08
 생산재수입 (2015=100) 177.56 170.11 175.70 174.69 165.09 154.47
 생산재제조용재료 (2015=100) 142.23 138.99 140.65 139.74 135.79 131.78
 생산재제조용재료(국내) (2015=100) 123.49 121.71 122.03 121.94 120.87 120.35
 생산재제조용재료(수입) (2015=100) 172.29 166.59 170.57 168.23 159.34 149.33
 생산재건설용재료 (2015=100) 145.87 144.49 144.33 144.64 144.51 143.78
 생산재건설용재료(국내) (2015=100) 146.52 145.00 144.43 144.69 145.01 144.77
 생산재건설용재료(수입) (2015=100) 136.90 137.68 144.19 145.35 137.99 129.25
 생산재연료・동력 (2015=100) 173.36 167.23 173.31 183.14 178.38 171.03
 생산재연료・동력(국내) (2015=100) 149.06 149.90 151.58 161.61 160.96 156.86
 생산재연료・동력(수입) (2015=100) 242.72 216.24 235.12 244.31 227.53 210.75
 생산재기타 (2015=100) 115.69 115.90 115.88 116.12 116.14 116.12
 생산재기타(국내) (2015=100) 115.34 115.55 115.37 115.56 115.70 115.83
 생산재기타(수입) (2015=100) 140.22 140.13 150.75 155.00 146.91 137.41

출처 : https://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301&tblId=DT_405Y006 

 

* 생산자물가지수 : 국내 생산자가 국내(내수)시장에 공급하는 상품 및 서비스의 가격의 변동을 종합한 지수

 

* 소비자물가지수 : 소비자가 구입하는 상품과 서비스의 가격변동을 측정하기 위한 지표

 

* 가공단계별 물가지수 : 국내에 공급되는 상품의 가격변동을 가공단계별로 조사함으로써 물가의 파급 과정 등을 파악하기 위하여 작성하는 지수

 

 

국내신용(DC; Domestic Claims 또는 Domestic Credit)

예금취급기관이 중앙정부, 지방정부 및 사회보장기구, 기업, 가계, 기타금융기관 등 여러 부문을 통해 공급한 통화를 국내신용이라고 한다.

국내신용은 부문별로 대출금, 유가증권, 주식 및 기타 지분 등 각각의 세부 항목을 보여준다.  ☞ 각 부문을 통해 어떠한 형태로 통화가 공급되는지 파악 가능.

이처럼 통화공급경로를 주체별로 나누는 것은 통화량이 통화신용정책 이외에도 재정수지 등 다양한 요인에 따라 크게 영향을 받기 때문에 통화정책 운용 시에 이와 같은 통화 등의 부문별 신용공급을 고려하기 위함이다.

중앙정부 부문을 통한 통화공급은 정부의 재정 활동의 결과재정지수에 따라 그 규모가 결정된다.

민간 부문을 통한 통화 공급민간신용이라고 하는데, 이는 금융기관이 기업과 가계에 대해 대출해주거나 기업이 발행한 유가증권을 금융기관이 매입하는 등의 형태로 이루어진다.

우리나라가 물가안정목표제를 도입한 1998년 이전에는 한국은행 통화신용정책 수행에 있어 최종목표와 중간목표가 있었다.

최종목표물가 안정, 경제성장 등을 의미한다.

중간목표는 이러한 최종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중앙은행이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경제변수, 즉 통화량 또는 금리 등을 말한다.

국내신용1970년부터 1977년까지 통화신용정책의 중간목표로 활용되었다.

 

통화 금융 기관이 국내의 가계, 기업, 정부에 돈을 빌려주거나 보증을 서는 일 따위를 이르는 말.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