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구석 경제/시황

2025.04.01 화요일(장후)

JeongYeon 2025. 4. 1. 21:39

기관의 저가 매수세 유입으로 코스피 2,500pt선 회복

✔ 우리나라 시간 4월 3일 4시 상호관세 세부 내용 발표 예정

 

투자자별 매매동향

 

반응형

 


반도체

 

3월 반도체 수출 호조

반도체 131억달러, 12%↑ "역대 3월 최대치 근접"…車 62억달러, 1%↑
대중국 수출 101억달러·4%↓…대미 수출 111억달러·2.3%↑

 

 

 

SK하이닉스, HBM 생산능력 확대 보도

1일 업계에 따르면 SK하이닉스는 이천에 위치한 반도체 공장 'M10F' 팹 용도 전환을 완료했다. 기존 D램 패키징 라인을 HBM 패키징으로 변경한 것으로, 필요 인허가 절차를 마친 것으로 확인됐다.

 

 

삼성전자 / SK하이닉스 / DB하이텍 / 테크윙 / 어보브반도체 / 리노공업 / 한미반도체 / 이오테크닉스 등

 


보안

삼성전자 독일법인 고객정보 대량 유출

고객 이메일 주소, 집 주소, 기기 모델 번호 등도 유출“
4년 전 사고 때 제대로 대응 안 한 것이 추가 공격으로 이어져”
1일 이스라엘 보안기업 허드슨락에 따르면, ‘GHNA’라는 아이디를 쓰는 해커는 최근 삼성전자 독일 서비스센터에 문의를 남긴 27만 고객들의 개인정보를 온라인에 유출했다.

 

 

싸이버원 / 한싹 

 


한화그룹

전날 장 마감 후 김승연 회장, 한화 지분 11.32% 증여하며 경영권 승계 완료

한화그룹 김승연 회장이 보유하고 있는 ㈜한화 지분 22.65% 가운데 절반인 11.32%를 세 아들에게 증여한다. ㈜한화는 31일 공시를 통해 김승연 회장이 보유한 ㈜한화 지분을 김동관 부회장, 김동원 사장, 김동선 부사장에게 각각 4.86%, 3.23%, 3.23%씩 증여한다고 밝혔다.

세 아들은 한화에너지의 지분 100%를 갖고 있어 이번 지분 증여로 세 아들의 ㈜한화 지분율은 42.67%가 돼 경영권 승계가 완료된다고 한화 측은 밝혔다.

 

한화 /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정치테마주

대통령 탄핵 심판 선고기일 발표

 

 

오리엔트정공 / 평화홀딩스 / 이스타코 / 오리엔트바이오 / 형지I&C / 형지엘리트 / 동신건설 / 에이텍 / 일성건설

 


 

한빛레이저 · 엠오티

한빛레이저 가 강세다. 삼성과 현대자동차가 다용도 로봇 및 휴머노이드에 들어갈 고성능 배터리를 공동 개발하고 있다는 소식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풀이된다. 

 

 

모티브링크 - 올해 최대 실적 전망

삼성과 현대자동차가 다용도 로봇 및 휴머노이드에 탑재될 고성능 배터리를 공동 개발에 나선다는 소식에서다. 국내 유일의 삼성SDI 탭 웰딩 및 패키징 조립 공정 설비 기업인 엠오티가 고압력·초정밀 제어 용접 기술을 적용해 전고체 조립설비 파일럿 라인 3종을 이미 개발한 점이 주목받고 있다.

 

 

알로이스

지난해 전기차 캐즘으로 7년 만에 역성장했지만, 올해는 수요 회복과 함께 최대 실적을 기록할 것으로 기대된다.

모티브링크는 전기차의 핵심 부품인 인버터와 컨버터(LDC)에 들어가는 트랜스포머와 필터, 인덕터 등을 생산하는 기업이다. 주요 고객사는 현대모비스로, 현대차·기아의 친환경 차량에 핵심 부품을 공급하고 있다.

 

 

미국 상호관세 - 한국 배터리 · 자동차

韓기업 10곳 중 6곳은 美상호관세 사정권

트럼프 - 비트코인

 

 

USTR - 절충교역, 비관세 무역장벽

USTR, 무역장벽보고서에 업계 주장 등 반영…개선 조치 압박
온라인 플랫폼 독과점 규제 입법 동향 등 조목조목 문제 제기
거론 내용 韓의 상호관세 부과 여부·세율에 미칠 영향 주목

미국 트럼프 행정부는 '상호관세' 발표를 앞두고 한국 정부가 대규모 무기 수입시 기술이전 등을 요구하는 '절충교역'과 미국산 소고기 수입 월령제한 등을 '비관세 무역장벽'으로 간주하며 사실상 시정을 요구하고 나섰다.

미국 무역대표부(USTR)는 31일(현지시간) 홈페이지를 통해 공개한 '2025 국가별 무역장벽보고서'(NTE 보고서) 한국 항목에서 "한국 정부는 국방 절충교역 프로그램을 통해 외국 방위 기술보다 국내 기술 및 제품을 우선하는 정책을 추진해왔다"고 밝혔다. 이어 "계약 가치가 1천만 달러(약 147억원)를 초과할 경우 외국 계약자에게 절충교역 의무가 발생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절충교역은 외국에서 1천만 달러 이상의 무기나 군수품, 용역 등을 살 때 반대급부로 계약 상대방으로부터 기술이전이나 부품 제작·수출, 군수지원 등을 받아내는 교역 방식을 의미한다.


USTR이 이번 보고서에 지적한 한국의 무역장벽은 작년을 비롯해 과거에도 자주 제기해온 사안이지만 올해는 트럼프 대통령이 4월2일 각국 대미 관세율과 비관세 장벽을 감안한 상호관세를 발표하면서 무역장벽을 세운 국가에 그에 상응하는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예고한 상황이라 그 의미가 더 크다. 이에 따라 이번 보고서에서 지적된 사항이 한국에 대한 상호관세 부과 여부 및 부과시 세율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게 될지 주목된다.

제이미슨 그리어 USTR 대표는 "근대사의 미국 대통령 중 트럼프 대통령보다 미국 수출업자들이 직면한 광범위하고 해로운 외국 무역장벽을 인식한 대통령은 없다"며 "그의 지도하에 이 행정부는 불공정하고 상호주의에 반하는 이런 관행을 해결하고, 공정성 회복을 도우며, 세계 시장에서 힘들게 일하는 미국 기업과 노동자를 우선하기 위해 부지런히 노력하고 있다"고 밝혔다.

 

 

 

 

 

출처

삼성증권, 신한투자증권

 

*각 기사 제목 누르면 출처로 이동합니다.

728x90

'집구석 경제 > 시황'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04.03 목요일(장후)  (5) 2025.04.03
2025.04.02 수요일(장후)  (3) 2025.04.02
2025.03.31 월요일(장후)  (5) 2025.03.31
2025.03.30 일요일 뉴스 정리  (11) 2025.03.30
2025.03.28 금요일(장후)  (13) 2025.03.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