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범위의 경제 2

백서른여덟 번째. 뱅크런과 범위의 경제

뱅크런(bank run) 은행의 대규모 예금인출사태를 가리키는 말이다. 금융시장 상황이 불안하거나 은행의 경영 및 건전성 등에 문제가 발생하면 예금자들은 은행에 맡긴 돈을 보장받을 수 없을 것이라는 불안감에 저축한 돈을 인출하게 된다. 은행은 지급할 수 있는 자금이 부족하게 되어 패닉 상태에 빠질 수 있다. 이를 뱅크런이라 부른다. 예금보험공사는 뱅크런과 이로 인한 금융 불안정을 방지하기 위해 예금자보호법에 의해 5,000만 원까지의 예금을 보호해 주고 있다. 범위의 경제(economies of scope) 한 기업이 여러 제품을 같이 생산할 경우가 개별 기업이 한 종류의 제품만을 생산하는 경우보다 평균 생산비용이 적게 들 때 범위의 경제가 존재한다고 말한다. 승용차와 트럭을 같이 생산하는 기업의 경우 ..

집구석 경제 2023.06.02

쉰여섯 번째. 규모의 경제와 규제 샌드박스

규모의 경제(economies of scale) 일반적으로 기업이 재화 및 서비스 생산량을 늘려감에 따라 추가로 소요되는 평균 생산비용도 점차 늘어간다. 그런데 일부 재화 및 서비스 생산의 경우 생산량이 늘어날수록 평균비용이 감소하는 현상이 나타나는데 이를 규모의 경제라고 한다. 이런 현상은 초기 생산단계에서 막대한 투자 비용이 필요하지만, 생산에는 큰 비용이 들지 않는 철도 · 통신 · 전력산업에서 나타난다. 이들 산업은 생산이 시작된 이후 수요가 계속 늘게 되면서 평균 생산비용도 감소하는 특징을 갖고 있다. 또한 분업에 따른 전문화 이익이 존재하는 경우에도 규모의 경제가 나타난다. 예를 들어 각자 케이크를 만드는 3명의 제빵사를 생각해보자. 이들이 따로 케이크를 만들 때보다 한 명은 반죽, 한 명은 ..

집구석 경제 2023.03.1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