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고정금리부채권 2

백마흔 번째. 변동금리와 변동금리부채권(FRN)

변동금리 변동금리는 시장금리를 반영해 주기별로 약정금리가 변하는 금리를 의미한다. 고정금리란 최초 약정한 금리가 만기 때까지 그대로 유지되는 금리를 말한다. 예를 들어 만기 1년, 약정금리는 4% 고정금리라면 약정기간 1년 동안 시장금리가 어떻게 변하더라도 해당 약정금리는 4%다. 만기 1년, 변동 주기 3개월, 약정금리는 CD금리+0.5%(또는 50bp)의 변동금리라면 3개월에 한 번씩 변동된 CD금리에 연동해 약정금리가 변하게 된다. 예를 들어 CD금리가 최초 약정 시 3.0%, 약정 3개월 후 3.2%, 6개월 후 3.5%, 9개월 후 4.0%라면 약정금리는 최초 약정 시 3.5%, 약정 3개월 후 3.7%, 6개월 후 4.0%, 9개월 후 4.5%가 된다. 자금 차입자 입장에서는 앞으로 시장금리가..

집구석 경제 2023.06.04

스물여섯 번째. 고정금리와 고정금리부채권(SB)

고정금리 최초 약정한 금리가 만기 때까지 그대로 유지되는 금리를 의미한다. 변동금리란 일정 주기별로 시장금리를 반영해 약정금리가 변동하는 금리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만기 1년 약정금리는 4%의 고정금리라면 약정기간 1년 동안 시장 금리가 어떻게 변하더라도 해당 약정금리는 4%이다. 반면 1년, 변동 주기 3개월, 약정금리는 CD금리+0.5%(또는 50bp)의 변동금리라면 3개월에 한 번씩 변동된 CD금리에 연동하여 약정 금리가 변하게 된다. 예를 들어 CD금리가 최초 약정 시 3.0%, 약정 3개월 후 3.2%, 6개월 후 3.5%, 9개월 후 4.0%라면 약정금리는 최초 약정 시 3.5%, 약정 3개월 후 3.7%, 6개월 후 4.0%, 9개월 후 4.5%가 된다. 자금 차입자 입장에서는 앞으로 시장..

집구석 경제 2023.02.1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