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구석 경제/시황

2025.05.21 수요일(장후)

JeongYeon 2025. 5. 21. 20:19

✔ 외인 수급에 힘입어 상승 마감

→ 장 중 달러-원 환율 1,384원 부근까지 하락하며 원화 강세 흐름 연출되자 외인 코스피 현 · 선물 동시 매수

✔ 미국 시장은 뚜렷한 재료 부재에 상승세 제약

→ 유틸리티 · 필수소비재 등 방어적 섹터 강세
관세 협상 뚜렷한 진전 X
장기 금리 4.5% 재돌파
 
 

투자자별 매매동향

 
 

반응형

코로나19 관련주

중화권 코로나19 환자 급증

이날 중국시보 등 대만언론에 따르면 대만 위생복리부 질병관제서는 이달 11~17일 코로나19로 인한 응급진료 환자가 1만9097명으로 전주(4~10일; 9978명)와 비교해 88.2% 늘어났다고 밝혔다.

또한 중국과 홍콩 등에서도 코로나19 양성률이 크게 늘었다. 중국은 지난 3월 말 7.5%였던 양성률이 이달 초 16.2%까지 올랐으며, 홍콩은 지난 4주간 코로나19로 인한 사망자가 30명에 달할 정도로 1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중화권뿐만 아니라 태국도 지난주 확진자가 전주보다 2배 이상 늘어났다는 보도도 나왔다.

 
 

다만 우리나라에서는 코로나19가 눈에 띄게 확산하지는 않고 있다. 질병관리청의 코로나19 주간 국내 발생 현황 통계에 따르면 올해 19주차(5월 4∼10일)의 입원환자 수(221개 표본감시 의료기관 신고)는 146명이다. 이는 직전 주 115명보다 증가한 수치이지만 최근 8주간 추이는 증감을 반복하고 있다. 12주에는 102명이었다가 15주에는 185명까지 증가했고, 이후 3주간 감소했다 다시 늘었다. 박스권 안에서 소폭 증감을 반복하는 셈이다.

 
 
그린생명과학 / 더바이오메드 / 셀리드 / 케이바이오 /수젠텍 / 진매트릭스 등
 


조선

'수주 모멘텀 지속'

 
 
세진중공업 / HD현대마린엔진 / HD한국조선해양 / HD현대미포 / HD현대마린솔루션 / 한화엔진 등

 


보톡스

휴메딕스 필러 수출 성장

휴메딕스의 필러 수출 성장이 구조적인 마진 개선을 견인하고 있다는 증권사 분석이 나오면서 긍정적 투심이 자극받은 것으로 풀이된다.

조은애 LS증권 연구원은 "중국 필러 수출 매출이 NMPA 갱신 지연 이슈로 부진했지만, 브라질 필러 수출이 고성장하면서 필러 수출이 레벨업 했다"며 "브라질 필러 수출은 파트너사의 유통망이 병·의원 중심에서 에스테틱 채널로 다변화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고, 중국 필러 수출은 5월부터 정상화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휴메딕스 / 디에스케이 / 휴젤 / 휴온스글로벌 / 한국비엔씨 / 대웅제약 등
 


바이오시밀러 · 콜드체인

FDA, 삼성바이오로직스 송도 생산시설 실사 착수 + 트럼프 약가 인하 수혜 기대감 등

 

 

 
 
삼성바이오로직스 / 바이넥스 / 삼천당제약 / 동아에스티 / 대웅제약 / 에이프로젠 / 서린바이오 / 일신바이오 / 대한과학 등
 


테슬라 로보택시 다음 달 출시

머스크 CEO는 20일(현지시간) 미 경제전문 케이블방송 CNBC 인터뷰에서 6월 말까지 텍사스주 오스틴 도로에서 완전 자율주행 로보택시 서비스를 출시할 수 있느냐는 질문에 "그렇다"면서 현재 운전자가 탑승한 채로 테스트 중인 가운데 "(운전자의) 개입이 전혀 없이 주행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현재 오스틴에서 수천 대의 차량으로 자율주행을 테스트 중이라며 "다음 달에 오스틴에서 잘될 것으로 보인다"고 자신했다.

 
 

AI반도체 · 방산주

 
 

한국 제조업 GDP

2023년 한국 제조업 GDP(4838억 달러)는 2000년(1612억 달러)보다 3배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에 따라 글로벌 순위는 8위에서 6위로 상승했다.

특히 2023년 한국 제조업 GDP의 해외 수요 의존도는 58.4%로 2000년(52.7%)보다 오히려 높아진 것으로 분석됐다.

2023년 우리 제조업 GDP의 미중 수요 의존도는 24.5%(미국 13,7%, 중국 10.8%)로, 주요 제조업 경쟁국인 일본(17.5%), 독일(15.8%)보다 높게 나타났다. 미중 무역 갈등이 심화될 경우 다른 경쟁국보다 한국 제조업 생산에 더 큰 차질이 빚어질 수 있는 상황이다.

 
 

SK이노베이션 E&S

 
 

케이쓰리아이 - 구글 스마트글래스

 

삼성 - 우주산업 진출

삼성이 우주 산업 진출을 모색하고 있다는 소식에 국내 우주 산업에 대한 성장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이에 따라 21일 장 초반 우주 관련 종목의 주가도 강세를 보이고 있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 한국항공우주(KAI) 등 대기업이 주로 발사체 기술에 주목했던 것과 달리 삼성이 우주 발사대에 관심을 보이자 국내 위성 관련 종목이 주목받고 있다. 시장조사 기관 글로벌인포메이션에 따르면 전 세계 위성 제조 시장은 2025년 2726억달러(약 378조원)에서 2030년 4177억달러(약 580조원)으로 고성장이 기대되는 시장이다.

 
 

대미 수출 급감

지난달 미국 주요 수출 품목 1~3위를 차지하는 자동차, 일반기계, 반도체 수출이 일제히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1월부터 4월까지 누적 수출은 전년동기대비 0.7% 감소한 2179억 달러를 기록한 것으로 집계됐다. 국가별 수출은 미국 -3.3%, 중국 -4.1%, 아세안 5.9%, 유럽연합(EU) 2.1% 등으로 집계됐다.

미국의 경우 올해 1월 전년동기대비 9.4% 감소한 92억9000만 달러를 기록한 뒤 2월 99억 달러(0.9%), 3월 111억2000만 달러(2.2%), 4월 106억3000만 달러(6.8%) 등의 수출액 변동을 보였다.

중국은 1월 92억1000만 달러(-13.9%), 2월 95억 달러(-1.4%), 3월 100억6000만 달러(-4.4%), 4월 108억8000만 달러(3.9%) 등의 수출액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아세안과 EU는 각각 3개월, 2개월 연속 수출액이 증가했다.

 
 
 
 
 
출처
삼성증권, 신한투자증권
 
*각 기사 제목 누르면 출처로 이동합니다.
* 오늘도 수고하셨습니다!

'집구석 경제 > 시황'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05.23 금요일(장후)  (7) 2025.05.23
2025.05.22 목요일(장후)  (11) 2025.05.22
2025.05.20 화요일(장후)  (12) 2025.05.20
2025.05.19 월요일(장후)  (13) 2025.05.19
2025.05.18 일요일 뉴스 정리  (13) 2025.05.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