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0 ~ 3.11
티엑스알로보틱스
공모가 : 13,500원
기관 경쟁률 : 862.62 : 1
상장일 : 2025.3.20
청약증권사 : NH투자증권
주요제품 : 물류자동화, 로봇자동화, AMR/AGV
공모(예정)주식수 : 3,075,400 주
티엑스알로보틱스의 작년 말 기준 수주잔고는 로봇 부문 30억원, 물류 부문 286억원 규모다.
이번 공모를 통해 유입되는 자금을 신제품 연구·개발(R&D)과 생산기지 인프라 확장 등에 활용할 계획이다.상장 후에는 기존 로봇·물류자동화 사업을 확대하고 ▲AI 기반 피스 피킹 로봇 ▲서비스 로봇(소화 로봇, 배연 로봇, 청소 로봇 등) ▲지능형 자동창고시스템 등 신사업을 추진한다.
출처 : ZDNET,
▶ 기업 홈페이지 : https://www.txr.kr/ko/
3.11 ~ 3.12
심플랫폼
공모가 : 13,000~15,000원
상장일 : 2025.3.21
청약증권사 : KB증권
주요제품 : NUBISON AIoT(산업용데이터 수집과 산업용 AI서비스운영)
공모(예정)주식수 : 920,000 주
2011년 설립된 심플랫폼은 인공지능(AI)와 사물인터넷(IoT)를 결합한 'AIoT' 기술을 바탕으로 산업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수집·분석·활용하는 전문 기업이다. 산업 현장의 다양한 디바이스에서 데이터를 수집하고, AI 기반 분석을 통해 운영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All-In-One' AIoT 제품을 주력으로 제공하고 있다.
심플랫폼은 지난 2024년 매출액 72억 원을 기록하며 손익분기점(BEP) 수준에 도달해 빠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현재 반도체, 의료, 스포츠, 농업 등 다양한 산업에서 고객사를 확보하고 있으며, 주요 고객사로는 DB하이텍, 파크시스템즈, 풍원정밀 등이 있다. 이들 기업에는 공정 이상 및 제품 이상 검사를 지원하고 있다.최근에는 에스앤에스텍, 강남 세브란스병원, 축산물품질평가원 등으로 AIoT 플랫폼 적용 범위를 확대하며 기술력과 확장성을 입증하고 있다. 내달 코스닥 상장을 앞두고 있는 심플랫폼은 상장 이후 정확한 시장 정보 제공과 적극적인 산업 확장을 통해 고객사를 지속적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임대근 심플랫폼 대표는 "이번 IPO는 심플랫폼의 핵심 기술력과 성장 가능성을 투자자들에게 알릴 중요한 과정이다"며 "투자자들과의 신뢰를 바탕으로 성공적인 IPO를 이끌어가겠다"고 밝혔다.
출처 : 뉴스핌
▶ 기업 홈페이지 : https://www.simplatform.com/ko/
3.12 ~ 3.13
더즌
공모가 : 10,500~12,500원
상장일 : 2025.3.24
청약증권사 : 한국투자증권
주요제품 : 전자지급결제대행업
공모(예정)주식수 : 2,500,000 주
B2B 비즈니스 혁신 기업 더즌은 지난 2017년 회사 설립 후 이중화 기술을 통해 2019년 기업용 금융VAN(Value Added Network‧부가가치통신망) 사업에 진출했다. 금융밴(VAN) 사업은 기업이 금융 거래를 수행할 때 이용기관과 은행의 시스템을 중개하는 서비스다.
금융VAN 사업의 후발주자로 진입한 더즌은 ‘이중화 기술’을 통해 빠르게 금융 네트워크를 구축하며 고객사를 확보했다. 이중화 기술이란 이용기관이 두 개의 금융VAN사를 통해 거래를 처리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구축하는 기술이다.
더즌의 이중화 기술이 개발되기 전까지 이용기관과 은행은 단일 금융VAN만을 사용할 수밖에 없었다. 금융VAN에 장애가 발생하면 뱅킹‧결제‧수납 등의 핵심 업무가 중단됐다. 이는 이용고객‧은행‧이용기관‧가맹점에 이르기까지 대규모의 영업 및 재무적 손실로 이어질 위험이 컸다. 이러한 위험을 해결하기 위해 더즌은 업계 최초로 이중화 기술을 개발했다. 이를 통해 더즌의 고객사는 24시간 안정적인 거래 환경을 확보할 수 있게 됐다.
더즌은 이중화 기술을 통해 국내 모든 시중은행 및 각종 금융사를 고객으로 확보했다. 성장 기반을 다진 더즌은 카카오페이‧쿠팡‧당근페이 등 국내 대표 플랫폼사와 경찰청‧한국도로공사 등 공공기관 레퍼런스를 쌓으며 급속도로 성장했다. 이중화 기술은 업계에서 유일하게 더즌만 보유한 기술이기 때문에 더즌의 고객을 경쟁사는 확보할 수 없지만, 더즌은 경쟁사 고객을 확보할 수 있다.
그 결과 더즌은 매출액과 영업이익의 가파른 성장을 이뤘다. 2020년 매출액 60억 원에서 2023년 421억 원으로 연 평균 91.9% 성장했다. 영업이익 또한 2020년 19억 원에서 2023년 107억 원으로 연 평균 77.9%의 성장률을 기록했다.
금융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더즌은 ▲크로스보더 정산 서비스 ▲대출 비교 서비스 ▲인증 서비스 ▲공동주택 전사자원관리(ERP) 서비스 ▲환전 키오스크 서비스 등 다양한 영역의 서비스를 출시하며 사업을 확장했다.
또한 더즌은 사업 분야 확장뿐만 아니라 영역 확장도 함께하고 있다. 디뱅킹(D-Banking) 솔루션 도입으로 동남아시아 시장을 공략할 계획이다. 디뱅킹 솔루션은 현지 기업과 금융기관 사이에서 데이터를 연결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다. 현재 중·대규모 은행 중심으로 서비스 도입 논의를 진행 중이며 핀테크, 이커머스 등 대량 금융거래 처리 플랫폼 기업과 디뱅킹 솔루션 이용 은행을 직접 연결해 동남아시아의 금융 혁신을 도모할 계획이다.
상장 후 유통가능물량은 전체주식수의 18.70%인 440만 5756주다. 최대주주인 조 대표의 지분은 전체 49.42% 중 19.42%는 상장일로부터 1년, 30.0%는 2년 6개월로 각각 매각제한을 걸었다. 2대주주인 카카오페이는 지분 8.41%(공모 후 기준) 보호예수 기간을 1년으로 설정했다.
앞서 더즌은 정정신고서를 제출하고 공모 일정을 연기했다. 이에 대해 더즌 관계자는 “자금상 타법인 M&A쪽이 많이 있다 보니까 그 부분에 대해서 좀 더 구체적으로 어떻게 사용을 할 것인지에 대한 부분이 반영돼 늦어졌다”고 말했다. 이어 “해외법인이 갖춰져 있지만 인력 확충과 초기 투자 지원을 위해 공모자금을 해외 시장 진출 관련해서 우선적으로 사용할 계획”이라고 했다.
그는 오버행(잠재적 매도물량 이슈)에 대해서는 “조 대표가 1년에서 2년 6개월 동안 자발적으로 더 기간을 연장했다”며 “카카오페이는 의무보유확약(일정기간 동안 공모주를 팔지 않겠다는 약속)에 해당 사항이 없는데도 불구하고 ‘1년 동안 의무 보유하겠다’고 하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출처 : 이코노미스트
▶ 기업 홈페이지 : https://www.dozn.co.kr/
'집구석 경제 > 증시 일정 및 청약 일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증시 일정(3.24 ~ 3.28) (7) | 2025.03.20 |
---|---|
증시 일정(3.17 ~ 3.21) (4) | 2025.03.14 |
증시 일정(3.10 ~ 3.14) (1) | 2025.03.07 |
청약 일정(3.4 ~ 3.7) (13) | 2025.03.03 |
증시 일정(3.3 ~ 3.7) (11) | 2025.02.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