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발행화폐
한국은행이 보유하고 있는 은행권과 주화 중 사용하기 적합하지 않아 폐기(잘게 썰거나, 분쇄 또는 녹이는 등의 방법으로 소각)하기로 한 화폐를 제외한 모든 은행권과 주화를 말한다.
한국은행은 미발행화폐를 필요한 곳에 적기에 공급하기 위해 한국은행 본부와 각 지역본부에 분산해 보관하고 있다.
동 화폐 대부분은 한국조폐공사로부터 제조해 납품받은 새 화폐와 금융기관들이 지급준비금 불입 등을 위해 입금한 화폐가 대부분이다.
한국은행은 미발행화폐를 한국은행 본부 또는 지역본부가 아닌 특정 금융기관에 보관케 하는 미발행화폐 임치제도를 운용할 수 있다.
이는 한국은행 본부 및 지역본부로부터 원격지에 위치해 교통 여건이 열악한 지역의 화폐 수급 애로를 해소하기 위해 동 지역 소재 금융기관 1개 점포를 지정해 한국은행의 미발행화폐를 보관케 하고 한국은행의 입회, 지시, 감독하에 화폐의 입 · 출 업무를 수행하게 하는 제도다.
이 제도는 1996년 가장 많은 23개 점포를 지정 · 운영했으나 현재는 교통 여건 개선 등으로 운영하지 않는다.
* 임치 : 당사자의 일방(수치인)이 상대방(임치인)을 위하여 금전이나 유가증권 기타 물건을 보관하는 계약이다.
바이오인증(Biometric Authentication, biometrics)
개인을 식별하거나 인증하기 위해 개인마다 구별해 측정할 수 있는 고유 생체정보를 자동화된 장치로 추출해 보관 · 인증하는 기술이다.
생체정보는 크게 지문 · 홍채 · 정맥 · 안면 · DNA · 심장박동 등 신체적 특성과 음성 · 서명 · 걸음걸이 · 자판입력 등 행동적 특성으로 분류된다.
바이오인증의 장점
- 별도의 보관 및 암기가 불필요하다.
- 분실 우려가 적다.
- 도용 · 양도가 어렵다.
바이오인증은 정보통신기술의 발달과 함께 금융거래에서도 본인을 인증하기 위해 사용되는 기존의 비밀번호 · 공인인증서 등 여러 인증수단을 대체하고 있다.
또한 공항 등 주요 보안시설이나 사무실 건물 출입 통제 절차, 사물인터넷 기술이 적용된 스마트홈 기기 접근 등 일상생활에서도 신분증 · 출입 카드 · 비밀번호 등의 대안으로서 그 활용 폭을 넓혀가고 있다.
'집구석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서른다섯 번째. 발행시장과 발행 중지 화폐 · 유통 정지 화폐 (0) | 2023.05.30 |
---|---|
백서른네 번째. 바젤은행감독위원회/바젤위원회(BCBS) (0) | 2023.05.29 |
백서른두 번째. 미 달러화 지수와 미달러화페그제도 (0) | 2023.05.27 |
백서른한 번째. 뮤추얼펀드 (0) | 2023.05.26 |
백서른 번째. 물가안정목표제와 물가지수 (0) | 2023.05.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