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23 ~ 4.24
로킷헬스케어
공모가 : 11,000원
기관 경쟁률 : 368.45 : 1
상장일 : 2025.5.12
청약증권사 : SK증권, KB증권
주요제품 : 장기 재생 플랫폼
공모(예정)주식수 : 1,560,000 주
로킷헬스케어의 주력 제품은 초(超)개인화 장기 재생 플랫폼(기반서비스)이다. 당뇨병으로 발 조직이 괴사하는 '당뇨발' 환자의 환부를 AI가 자동으로 모델링해 3D 프린터로 맞춤형 재생 패치를 만들고, 환자의 상황에 맞게 피부 재생 치료를 진행하는 것이 골자다.
이 플랫폼은 국내외 의료 인상을 진행한 결과 1번의 치료 만으로 82.1%의 치료율을 보였고, 피부이식술 등의 비용을 4분의 1가량으로 줄여 환자 부담을 덜어주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회사는 해외 시장 진출을 위해 미국 FDA를 포함해 16개 국가의 글로벌 인증을 취득했고, 46개국의 현지 파트너와 상용화 계약을 체결해 북미, 중동, 아시아, 남미, 유럽 등에 제품을 수출하고 있다.
로킷헬스케어가 보유한 기술은 피부 외에 연골이나 신장 재생으로도 확대 적용할 수 있어 회사 측은 피부암, 화상, 신장질환 등의 환자를 위한 새 플랫폼을 준비하고 있다.
유석환 로킷헬스케어 대표이사는 "의료시장에서 AI와 바이오 기술을 융합한 장기 재생 플랫폼을 세계 최초로 상용화시켰고, 개인별 맞춤 재생 환경 조성을 통해 실질적인 치료 효과를 입증해 의의가 크다"고 설명했다.
회사 측은 상장으로 확보한 자금을 유럽·남미 시장의 진출을 위한 마케팅과 연골·신장 재생 플랫폼 개발을 위한 임상시험 등에 쓸 예정이다.
출처 : 연합뉴스
▶ 기업 홈페이지 : https://rokithealthcare.com/ko/
4.24 ~ 4.25
원일티엔아이
공모가 : 13,500원
기관 경쟁률 : 1,308.07 : 1
상장일 : 2025.05.09
청약증권사 : NH투자증권
주요제품 : 수소저장합금, 고압연소식기화기
공모(예정)주식수 : 1,200,000 주
원일티엔아이는 수소, LNG, 원자력 등 친환경 에너지 전반을 아우르며 핵심 부품의 국산화를 통해 다양한 제품을 공급해 온 기업이다. 1988년 설립 이후 가스 설비 사업을 기반으로 성장했으며, 2000년대 초에는 원자력과 LNG 분야로 사업을 확장했다. 2020년부터는 수소 사업에 본격 진출하며 친환경 에너지 솔루션 기업으로 자리매김했다.
원일티엔아이는 장보고-III 잠수함에 수소저장합금과 수소 실린더를 공급하고 있다. 이 대표는 “2008년부터 수소 합금을 개발, 세계에서 독일에 이어 두 번째로 잠수함용 수소저장합금을 만드는데 성공했다”며 “현재 장보고-III 6척에 납품 중이며, 향후 장보고급 잠수함으로 캐나다에서 12척, 폴란드에서 3척의 수주가 유력하다”고 말했다.
이 회사는 이번 기업공개(IPO)를 통해 총 138억원의 자금을 조달할 계획이다. 이 대표는 “핵심 장비인 진공 열처리로가 노후화됐고, 생산량을 늘리기 위해 추가 증설이 필요하다”며 “공장을 확장하고 연구개발 인력도 보강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상장을 추진중인 원일티엔아이는 액화천연가스(LNG) 및 수소 관련 설비 사업이 모두 성장성이 크다고 보고 있다. 전세계적으로 LNG는 물론 수소 사용량이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런 에너지 전환 기조는 원일티엔아이의 사업에 있어 호재로 작용할 전망이다.
LNG 설비 사업의 경우 이미 우리나라에서 높은 시장지위를 보유하고 있는 상황이다. 수소 사업의 경우 아직 발전의 여지가 크다. 기업공개(IPO)가 필요한 이유 역시 수소 시장 개화에 맞춰 사업기반을 강화하기 위해서다.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는 글로벌 친환경 에너지 기업으로 도약하겠다는 것이 원일티엔아이의 에쿼티 스토리의 핵심이다.
출처 : 더벨, 이데일리, 국제뉴스
▶ 기업 홈페이지 : http://www.woniltni.co.kr/
나우로보틱스
공모가 : 6,800원
기관 경쟁률 : 1,394.96 : 1
상장일 : 2025.5.8
청약증권사 : 대신증권, iM증권
주요제품 : 로봇자동화시스템, 산업용 로봇, E.O.A.T
공모(예정)주식수 : 2,500,000 주
지난 2016년 설립된 나우로보틱스는 기존 로보틱스 업체가 로봇 HW를 SI(시스템 통합) 업체를 통해 최종 수요자에게 공급하는 방식이 아닌, 로봇 자동화 시스템 구축 역량과 로봇 개발 기술을 바탕으로 SW 및 HW 통합 솔루션 기반의 턴키 공급 체계를 갖추며 빠르게 성장해온 기업이다.
아울러 로봇 자동화 시스템 구축·개발 기술을 기반으로 원스톱 토털 로봇 설루션을 제공하고 있으며, 국내 유일 고중량 가반하중(로봇이 들어 올릴 수 있는 최대 무게) 라인업도 보유하고 있다.
특히 나우로보틱스는 로봇의 안정성과 내구성을 높이는 로봇 매니퓰레이터 설계·개발 기술과 소프트웨어·하드웨어 토털 설루션을 제공하는 로봇 자동화 시스템 구축·개발 기술을 통해 글로벌 기업과 다양한 스펙의 제품 개발을 위한 제조업자 개발생산(ODM) 협력 체제를 구축 중이다.
대표 제품으로는 직교 로봇 'NURO' 시리즈, 다관절 로봇 'NURO-X' 시리즈, 스카라 로봇(수평 다관절 로봇) 'NUCA' 시리즈, 자율주행 물류 로봇 'NUGO' 시리즈 등이 있다.
전체 직원 중 연구개발 인력이 32.8%이며, 매출액 대비 연구개발 투자 비중이 2023년 3분기 기준 16.7%다.
나우로보틱스는 올해 제품 R&D 역량 강화와 제품 라인업 확장, 네트워크 구축을 통한 사업 본격화의 원년으로 삼을 계획이다. 이러한 성장 로드맵을 통해 ▲로봇 시스템 구축 및 레퍼런스 확대, ▲생산체계 구축 위한 시설 확대, ▲글로벌 지역별 영업 거점 확대, ▲글로벌 Z사와의 ODM을 통한 제품 라인업 확대 등을 실현한다는 계획이며, 이를 기반으로 주요 고객처의 로봇 자동화 시스템, 신규 제품 판매, 글로벌 기업 ODM 매출 발생 등 내년 매출액 241억원과 영업이익 13억원을 달성할 계획이다.
유입된 공모 자금은 제품 고도화를 위한 연구개발과 생산 능력 확대를 위한 시설 자금, 글로벌 시장 확대를 위한 마케팅 및 영업 등에 사용할 예정이다.출처 : 연합뉴스, 아시아타임즈
▶ 기업 홈페이지 : https://naurobot.com/
4.25 ~ 4.28
오가노이드사이언스
공모가 : 21,000원
기관 경쟁률 : 1,066.9 : 1
상장일 : 2025.5.9
청약증권사 : 한국투자증권
주요제품 : 오가노이드기반 재생치료제, 오가노이드기반 신소재평가솔루션
공모(예정)주식수 : 1,200,000 주
오가노이드사이언스는 오가노이드(organoid)를 활용해 재생치료제를 개발하고 신소재 효능 평가 솔루션을 제공하기 위해 2018년 10월 설립됐다. 회사가 보유한 오가노이드 원천기술은 손상된 인체 조직에 생착해 조직을 재생시키는 재생치료제와, 신약 개발 시 약물 효능을 정확히 평가하는 신소재 평가 솔루션 사업으로 이어지고 있다.
오가노이드는 자기조직화 능력을 가진 3차원 세포 구조체다. 인체 조직의 특성을 효과적으로 모사해 동물 및 기존 세포 실험의 한계를 극복하는 신약 효능 평가 수단으로 각광받고 있다.
회사는 2023년 5월 정부로부터 '국가첨단전략기술'로 선정되어 국내 유일의 오가노이드 기반 재생치료제 기술 인증 기업이 됐다. 향후 정밀의료 및 동반진단 서비스, 맞춤형 연구 시약(organoEZ) 제품군, CDMO(위탁생산) 사업 등으로 사업 영역을 지속적으로 확대할 예정이다.
2024년 매출은 19억5000만 원으로, 이 가운데 ODISEI 서비스 매출이 85%, 연구용 시약(RUO) 등 제품 매출이 15%를 차지했다.
IPO를 통해 조달된 공모 자금은 ▲임상시험 비용 ▲연구개발(R&D) 고도화 ▲시설·장비 확충 등에 투입해 오가노이드 기반 재생치료제 ‘ATORM‑C’와 신소재 평가 솔루션 ‘ODISEI’의 상업화를 가속화한다는 계획이다.
출처 : 더스탁
▶ 기업 홈페이지 : https://organoidrx.com/kor/
'집구석 경제 > 증시 일정 및 청약 일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증시 일정(5.5 ~ 5.9) (10) | 2025.05.02 |
---|---|
증시 일정(4.28 ~ 5.2) (12) | 2025.04.25 |
증시 일정(4.21 ~ 4.25) (11) | 2025.04.19 |
공모주 청약 일정(4.17 ~ 4.18) (4) | 2025.04.12 |
증시 일정(4.14 ~ 4.18) (7) | 2025.04.10 |